- 영문명
-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Concomitant with Primary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동우(Dong Woo Kim) 김병진(Byoung 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7, 289~29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후천코눈물관막힘과 마이봄샘기능장애의 동반 빈도 및 역학, 위험인자, 가능한 기전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후천코눈물관막힘 환자 215명을 대상으로 마이봄샘기능장애의 동반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에 대해 눈물띠높이, 눈물막파괴시간(tear break-up time, BUT), meibomian gland expression score (MGE), meibomian gland secretion score (MGS), eyelid margin assessment score, meiboscore를 평가하였다.
결과: 215명의 환자 중 3명을 제외한 212명의 후천코눈물관막힘 환자 중, 108명(50.9%)에서 마이봄샘기능장애가 동반되었다. 동반된환자들 중 50-60대의 비율이 62.9%였으며, 여성 성별이 77.8%로 높았다. 여성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BUT 및 MG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이봄샘기능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안연고, 온찜질 치료로 호전되지 않아intense pulsed light (IPL) 치료를 시행한 비율은 36.1%였으며 치료 후 안구건조를 비롯한 주관적인 증상 호전이 있었고, BUT 및MGE, MGS, eyelid margin의 개선을 보였다.
결론: 후천코눈물관막힘과 마이봄샘기능장애는 50-60대의 중년 여성에서 동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눈물흘림 환자가 중년 여성이거나, 눈물막파괴시간이 짧거나, 혹은 마이봄샘 압출 점수가 높다면 마이봄샘기능장애의 동반 가능성에 대해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concomitant with primary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NDO).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1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ANDO and MGD from January 2023 to March 2023. Tear film height, tear break-up time (BUT), meibomian gland expression (MGE) score, meibomian gland secretion (MGS) score, eyelid margin assessment (EMA) score, and meiboscore were assessed among the patients.
Results: Three patients were excluded. Among the 212 patients with PANDO, 108 (50.9%) had concomitant MGD. Of these, 62.9% were middle-aged (50s to 60s) and 77.8% were female. Female gender was ident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T and meibomian gland expression in the group with concomitant MGD. In this group, 36.1% did not improve with ointment and warm compression treatments, and thus were treated with intense pulsed light (IPL) therapy. Subjective systems improved after IPL, including dry eye, tear BUT, MGE, MGS, and EMA.
Conclusions: Epiphora due to PANDO and dry eye disease associated with MGD are not mutually exclusive diseases, with the highest comorbidity observed i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tential presence of MGD in epiphora patients who are middle-aged females, who have a short tear BUT, or who have a high MGE score indicating poor secretion. Active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comorbid condition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