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이용수 3

영문명
Hilasterion (ἱλαστήριον) as the “Atonement of the Day of Atonement”: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Romans 3:25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김명일(Myongil Kim)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72권, 383~4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로마서 3장 25절에 등장하는 헬라어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은 하나님의 의(δικαιοσύνη)와 구속(ἀπολύτρωσις)을 연결하는 신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바울은 이 용어를 사용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설명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의가 믿음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을 강조한다(롬 3:21-26). 그러나 이 단어의 번역과 해석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세 가지 주요 해석이 학계에서 주를 이룬다. 첫째는 “속죄소”라는 번역으로, 이는 히브리어 ‘카포렛’(כַּפֹּרֶת)의 70인역 번역에 해당하며, 대속죄일에 언약궤 위 덮개에 피를 뿌리던 장소를 의미한다. 둘째는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림”(propitiation)이라는 해석으로,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하나님의 진노가 누그러뜨려진다는 측면에 초점을 둔다. 셋째는 “죄의 속죄”(expiation)라는 해석으로, 대속을 통해 죄가 속죄되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 각각의 해석은 바울 신학의 특정한 측면을 드러내지만, 힐라스테리온의 복합적 의미를 완전히 담아내지는 못한다. 구약에서 힐라스테리온은 주로 속죄소를 의미하며, 대속죄일에 대제사장이 이곳에 희생의 피를 뿌림으로써 백성의 죄를 사하고 하나님과의 언약적 교제를 유지하는 중심 장소였다. 바울은 이러한 이미지를 예수 그리스도께 적용하여, 그리스도를 구약의 희생제사의 성취로 제시한다. 곧 그리스도의 죽음은 궁극적 힐라스테리온으로서, 죄의 제거와 하나님의 진노의 만족이라는 두 측면을 모두 충족시킴으로써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를 화해시키는 사역을 수행한다. 이러한 해석은 이사야 53장의 고난받는 종의 이미지와도 연결되며, 거기서 종은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는 제사장이자 희생 제물로 등장한다. 기존의 번역들—“속죄소”, “진노를 누그러뜨림”, “죄를 속죄하는 대속”—은 각각 바울의 신학에서 특정한 주제를 부각시키지만, 힐라스테리온이라는 개념의 통합적인 의미를 온전히 드러내지는 못한다. 본 연구는 이 단어를 “대속죄일의 대속”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구약의 배경, 언약적 의미, 그리고 그리스도 중심적 성취를 모두 포괄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번역은 신구약 간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을 통해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충족되고, 죄가 제거되며, 하나님과의 교제가 회복된다는 신학적 통찰을 명확히 드러낸다.

영문 초록

The term hilasterion (ἱλαστήριον) in Romans 3:25 is a theologically significant concept that connects God’s righteousness (δικαιοσύνη) with redemption (ἀπολύτρωσις). Paul’s use of hilasterion serves to explain Jesus Christ’s atoning work, emphasizing how God’s righteousness is revealed through faith (Rom. 3:21-26). However,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is term have long been debated, with three primary perspectives dominating the discussion: (1) “mercy seat”, reflecting the LXX translation of kapporet (כַּפֹּרֶת), the lid of the Ark of the Covenant used on the Day of Atonement; (2) “propitiation”, focusing on the appeasement of God’s wrath through Christ’s sacrifice; and (3) “expiation”, emphasizing the removal of sin through atonement. Each interpretation captures distinct aspects of Paul’s theology, yet none fully encompasses the complex meaning of hilasterion. In the Old Testament, hilasterion (translated as kapporet in the LXX) primarily refers to the “mercy seat,” where the high priest sprinkled sacrificial blood on the Day of Atonement to secure forgiveness and maintain covenantal fellowship with God. Paul connects this imagery to Jesus Christ, portraying Him as the fulfillment of the sacrificial system. Christ’s death functions as the ultimate hilasterion, reconciling God’s justice and mercy by addressing both the removal of sin and the satisfaction of divine wrath.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broader theological themes, such as the role of the “Suffering Servant” in Isaiah 53, who bears the sins of many as a priestly and sacrificial figure. Existing translations—such as “mercy seat,” “propitiation,” and “expiation”—each highlight specific facets of Paul’s theology but fail to fully convey the integrative nature of hilasterion as both a locus of divine presence and the mechanism of redemption. This study proposes the translation “Day of Atonement’s atonement” to capture the term’s rich Old Testament background, covenantal significance, and Christological fulfillment. This approach emphasizes the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highlighting how Christ’s sacrificial death satisfies God’s justice and mercy, removes sin, and restores fellowship with God.

목차

1 서론
2 ‘힐라스테리온’(i`lasth,rion)의 의미와 구약적 배경
3 로마서 3:25의 힐라스테리온
4 힐라스테리온 번역과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일(Myongil Kim). (2025).“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개혁논총, (), 383-412

MLA

김명일(Myongil Kim). "“대속죄일의 대속”으로서의 힐라스테리온(ἱλαστήριον): 로마서 3:25의 신학적 함의." 개혁논총, (2025): 383-41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