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5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atechisms and Its Influence in the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 from 1881 to 1922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한동수(Dongsoo Han)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72권, 121~178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독교 2,000년 역사에서 신조와 교리문답은 개인이나 교회가 각종 이단과 거짓복음의 도전에 저항하여 바른 복음을 지켜내는 데에 필수적이었고, 개인의 신앙이 내용 없는 명목상의 고백이나 신비주의적인 망상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데에도 시금석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교리문답은 종교개혁 이후에는 개혁교회 안에서 교회가 개인에게 신앙의 도리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고안해 낸 훌륭한 수단이었다. 이것은 한국 장로교회 역사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한국 장로교회에서 교리문답은 선교사가 공식적으로 입국하기 전부터 제작되어 배포되었으며, 불신자에게는 성경과 함께 복음 전파 수단으로 활용되고, 신자에게는 성경공부와 짝을 이루어 기독교 진리와 구원의 도리를 가르쳤다. 또한, 이로 인해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바른 교리 위에 견고하게 세워질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그 초기 역사를 탐구하여 논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평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첫 교리문답서가 출판된 1881년부터 조선예수교장로회헌법이 제정된 1922년까지의 기간을 연구범위로 정하여 크게 세 가지 틀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는 각종 교리문답서의 제작, 번역, 출판의 역사를 서술하고, 둘째는 각종 교리문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한 다양한 사례와 그 영향을 연구하며, 셋째는 이런 역사에 담긴 의의가 무엇인지 밝힌다. 그리고 이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 한국 장로교회를 위한 간략한 제안을 덧붙인다.

영문 초록

Creeds and catechisms have been vital throughout Christianity’s 2,000-year history, safeguarding sound doctrine against heresies and false gospels. They have also ensured individual faith remained substantive, preventing it from becoming mere nominal confession or mystical delusion. Among these, catechisms, especially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post-Reformation, proved an excellent tool for effectively educating individuals in the principles of faith. This holds true for Korean church history too. The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 produced and distributed catechisms even before missionaries officially arrived. They served as an evangelistic tool alongside Scripture for nonbelievers, and for believers, they supplemented Bible study, teaching Christian truth and salvation principles. Consequently, the Korean church was firmly established on God’s Word and sound doctrine. This article explores this early history and evaluates its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first catechism’s publication in 1881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onstitution in 1922. The discussion unfolds in three main parts: first, a chronicle of the production,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various catechisms; second, an examination of diverse cases of active catechism education and their impact; and third, an elucidation of the significance embedded in this history. Based on these discussions, brief recommendation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Presbyterian Church are appended.

목차

1 들어가며
2 교리문답서들의 출판
3 교리문답의 다양한 활용
4 역사적 의의와 평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동수(Dongsoo Han). (2025).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 121-178

MLA

한동수(Dongsoo Han). "한국 장로교회 초기의 교리문답 교육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881년부터 1922년까지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2025): 121-17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