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bility of Dam Crest Height in Small Reservoi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김현교(Hyun Kyo Kim) 유범현(Bum Hyun Ryu) 이호진(Ho 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18권 2호, 49~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저수지의 붕괴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를 적절히 방어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있다. 저수지는 약 17,066개의 농업용 저수지중 14,877개의 저수지가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한 저수지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강력한 집중호우및 변화된 설계기준에 소규모 저수지가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된지 40년 이상, 저류용량 10만톤 이하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하며 충청북도 지역의 기상관측소의 자료가 중복되지 않도록 관측 자료가 최소 30년 이상 보유하고 있는 4개의 관측소를 대상으로 저수지를 선정하고 관측소에 따른 기간별 홍수량 변동에 대한 경향성을 분석하고, 관측소별 홍수량 변동을 비교하여 소규모 저수지의 유지관리 방안 마련 시 순위를 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측소별 기간을 20년 단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Case 1(1973~1992년), Case 2(1983~2002년), Case 3(1993~2012년), Case 4(2003~2023년)로 분류하여 설계홍수량증감률을 비교한 결과 지역적 경향성을 뚜렷이 나타냈다. 설계홍수량을 토대로 저수지 홍수추적을 수행하여 저수지별 댐마루 높이의적성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대상 저수지 전체 Case에서 댐마루 높이가 부족한 것이 확인 되었으며, 소규모 저수지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저수지이며, 전문기관(한국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 등)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저수지들은 주기적으로 진단 및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소규모 저수지 중 대다수는 관리가 미흡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있는 만큼 본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소규모 저수지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운영관리 방안을 수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Cases of reservoir failure continue to be reported, and these failures occur due to the inability to adequately defend against localized heavy rainfall caused by climate change. Among the approximately 17,066 agricultural reservoirs, 14,877 are over 50 years old. It is expected that small-scale reservoirs will struggle to respond adequately to the recent intense rainfall and changing design standards. This study focuses on small-scale reservoirs that are over 40 years old and have a storage capacity of less than 100,000 tons. Four weather stations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ensuring that the observational data did not overlap and that each station had at least 30 years of data. The trends in flood variability by period for each station were analyzed, and by comparing the flood variability,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ranking the maintenance management plans of small-scale reservoirs.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20-year periods for each weather station: Case 1 (1973~1992), Case 2 (1983~2002), Case 3 (1993~2012), and Case 4 (2003~2023). The results showed a clear regional trend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design flood quantities. Based on the design flood quantities, reservoir flood tracing was conducted, an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dam crest height was appropriate for each reservoi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m crest freeboard was insufficient in all cases for the target reservoirs. Most small-scale reservoirs are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and reservoirs managed by specializ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re periodically diagnosed and managed. However, many small-scale reservoir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have inadequate maintenance, posing potential risk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pe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small-scale reservoirs.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Crisisonom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Conference
- Crisisonomy
- Water for Futur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Crisisonomy
- Crisisonomy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물과 미래: 한국수자원학회지
-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 한국방재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