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이용수 3

영문명
Reconceptualizing Beginning Secondary Teachers’ Adaptation: Identity Formation and Customization Strategie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오춘식(Chun-Shik Oh) 이전이(Jeon-Yi Lee)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251~2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직 적응을 교사의 수동적 사회화 과정이 아닌, 정체성 맞춤화 전략이라는 주체적인 협상 과정으로 재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임교사가 교직 입문 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하는 역할 기대와 내면화해온 교사 정체성 간의 불일치를 어떻게 조정하고 해석해 나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Pratt et al.(2006)의 이론을 분석틀로 삼고, Strauss와 Corbin(1998)의 패러다임 모형을 보완하여 이론적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 초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정 근거이론 접근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 초임교사들은 교직 업무에 대해 갖고 있던 기대와 실제 역할 수행 사이에서, 자신이 내면화한 교사로서의 정체성과의 괴리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업무-정체성 불일치’는 수업 활동에 대한 부담감과 더불어 다양한 수업 외적인 역할 요구와 이를 둘러싼 인과적, 중재적 조건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 초임교사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체성 강화, 보완, 부목화의 세 가지 맞춤화 전략을 유동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동일 교사 내에서도 전략 간 전환이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초임교사의 적응이 역할 기대와 내면화된 정체성 사이의 갈등을 주체적으로 해석하여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임을 시사하며, 이들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결핍의 해소가 아닌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에 부합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redefined teacher adaptation as an active process of identity negotiation rather than passive socialization, exploring how beginning teachers interpret and reconcile mismatches between internalized teacher identity and school role expectations. Methods: Using Pratt et al.’s(2006) identity-customization framework and an adapted Strauss and Corbin(1998) paradigm model, the authors developed a theoretical schema to guide the inqui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econdary novice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via a M-GTA approach. Results: Teachers experienced work-identity mismatches that were intensified by multiple job demands and contextual factors. They flexibly employed three identity customization strategies—enriching, patching, and splinting—with strategy shifts often occurring within the same individual. Conclusion: Novice teacher adaptation is a process of actively negotiating and reconstructing identity amid conflicting expect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y approaches that address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identity formation rather than merely remediating defici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춘식(Chun-Shik Oh),이전이(Jeon-Yi Lee). (2025).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교원교육, 41 (4), 251-277

MLA

오춘식(Chun-Shik Oh),이전이(Jeon-Yi Lee).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교원교육, 41.4(2025): 251-27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