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utonomy support on middle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gri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지흠(Ji-Heum Park) 박종률(Jong-Lyoul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161~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435부의 데이터를 상관분석과 단순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그릿 하위요인 중 노력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체육 수업이 단순한 신체활동을 넘어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학습 환경임을 시사한다. 향후 체육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협력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도전과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수업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middle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grit.
Methods: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43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 teacher autonomy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Second, PE teacher autonomy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ort persistence, a subcomponent of gri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more than just physical activity; they are important learning environments that foster students' soci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growth. In the futu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more autonomy and choice to foster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support them to persist in persevere challenges and go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