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Regarding D. Shevock’s Eco-Literate Music Pedagog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주영(Joo-Young Park) 손민정(Min-Jung S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의 관점에서 음악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으로서 셰복(D. Shevock)이 제안한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의 철학과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에서 도출해 낸 철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셰복의 수업 사례를 검토하고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비추어 한국 음악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셰복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의 철학적 기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인간 주체성, 지역정체성, 장소성, 다양성, 지속가능성의 다섯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제안된 교수 사례 중 네 가지를 선정하여 활동 영역별로 분류하고 교육과정과의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셰복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은 생태문해력을 중심에 둔 음악 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선정된 수업 사례들은 연주, 감상, 창작 활동과 연계되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도출된 철학적 요소들은 생태전환교육의 방향과 부합하며, 음악 교육이 생태적 감수성과 실천 역량을 기르는 교육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이 생태의식 함양과 지속 가능한 교육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사례 연구와, 교사 및 예비교사를 위한 생태문해적 교수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new possibility for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philosophy and practices of D. Shevock’s Eco-Literate Music Pedagogy. Focusing on key philosophical elements, the study examines selected instructional cases and investigates their applicability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hevock’s Eco-Literate Music Pedagog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five key elements were identified: more-than-human subjectivity, local identity, sense of place,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four instructional cases proposed by Shevock were selected, categorized by activity area, and examined in rel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Results: Shevock’s Eco-Literate Music Pedagogy demonstrates the practical potential of Music Education centered on ecological literacy. The selected cases align with performance, performance, listening, composition, and closely relate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 considerations. The identified philosophical elements reflect the dire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suggesting that music can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and practical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Eco-Literate Music Pedagogy in fostering ecological awareness and sustainable education.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on classroom appli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본문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