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ocial-Emotional Learning Support Based on AI Coursewar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홍광표(Kwangpyo H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I 코스웨어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사회정서학습(Social-Emotional Learning, SEL)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교사의 AI 코스웨어 기반 정서정보 교수설계 역량을 중심으로 감정상태 인식, 정서 피드백 문장 구성, 정서정보 통합 수업설계, 실행 및 조절 역량의 네 하위 영역을 구성하고, 연수에 참여한 초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자기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정서정보와 AI 기술을 통합한 실습 중심 연수가 교사의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역량 강화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특히,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AI 코스웨어의 제한된 정서 피드백 기능을 넘어 학생의 감정을 인식하고 상황에 맞는 공감적 언어를 구성하며, 이를 실제 수업 흐름에 통합하는 실천적 역량에서 뚜렷한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질적 변화는 교사가 AI 분석 정보를 교육적으로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의 향상을 통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본 연구는 AI 기반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AI 코스웨어 활용 정서 설계 및 실행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연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정서 피드백의 정밀성,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nd verifies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ir competence in supporting elementary SEL using AI courseware. Methods: Focusing on teachers' AI courseware-based a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e, four sub-domains (emotional state recognition, emotional feedback construction, affective information integration into lesson design, and instructional execution and regulation) were identified. Self-efficacy changes were then analyzed for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across all sub-domains,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oriented training program in enhancing teachers' AI courseware-based SEL support competencies. Teachers specifically improved in practical skills like recognizing student emotions, formulating empathetic language, and integrating these into lesson flows, suggesting enhanced ability to reinterpret and utilize AI analysis inform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training model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in AI courseware-based emo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Further research on emotional feedback precision and diverse applicability is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광표(Kwangpyo Hong). (2025).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원교육, 41 (4), 27-54

MLA

홍광표(Kwangpyo Hong).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원교육, 41.4(2025): 27-5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