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 근로자의 건강한 일터 조성을 위한 전략적 접근

이용수 36

영문명
A Strategic Approach to Healthy Workplace Environments for Immigrant Work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수정(Su Jeong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4호, 123~13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이주 근로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다양한 국적의 이주 근로자들이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주로 3D 업종에 종사하며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언어 장벽, 장시간 노동, 낮은 임금, 산업재해, 인권 침해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특히 위험한 작업환경에서 산업재해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건강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 근로자를 위한 건강증진정책이나 근로환경 개선방안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내 이주 근로자의 건강 및 근로환경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모색하기 위해 서술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세계보건기구(Wolr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제시한 건강한 일터(Healthy Workplace) 조성 원칙에 기반하여 현재 우리나라 근로환경 시스템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관리 거점 센터 운영과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체계 마련, 여성 이주 근로자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안전한 일터 조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worldwide continues to increase steadily, and in South Korea as well, workers of various nationalities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primarily in so-called 3D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service sectors. However, these workers face numerous challenges, including language barriers, long working hours, low wages, industrial accident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hich pose serious threats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particular,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industrial accidents is high due to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s,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systematic protection of their health and safety.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related to the health and working conditions of im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By reviewing a wide range of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aims to identify key issues faced by immigrant workers and provide insights for potential policy improve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health and work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for creating a Healthy Workplace framework, the study proposes strategic 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current Korean workplace environment. These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centralized health management centers for immigrant workers,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infrastructure for building big data related to immigrant worker health, and the creation of safe workplaces tailored to the needs of female migrant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안전문화연구
  • 다문화콘텐츠연구
  • 한국융합학회 논문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한국사회정책
  • 한국산업인력공단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이민정책연구 보고서
  • 안전문화연구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강원법학
  • 안전문화연구
  • 한울 아카데미
  •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 직업건강간호학회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GRI 연구논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 World Health Organiz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정(Su Jeong Lee). (2025).이주 근로자의 건강한 일터 조성을 위한 전략적 접근. 안전문화연구, (), 123-132

MLA

이수정(Su Jeong Lee). "이주 근로자의 건강한 일터 조성을 위한 전략적 접근." 안전문화연구, (2025): 123-13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