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전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현장 공사담당자 명칭, 직무통합 적용방안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job titles and duties of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managers to improve safety work efficienc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오수찬(Soo Chan Oh) 이병길(Byoung Kil Lee) 안승용(Seung Yong Ah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4호, 91~10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설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안전관계법규 중 대표적인 두 개의 법인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 진흥법」에서 공사담당자 명칭과 직무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사담당자들이 법의 정확한 본인들의 호칭과 안전직무를 알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 진흥법」상 공사담당자의 명칭과 직무의 통합 필요성 확인 및 적정명칭과 직무를 도출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안전 전문가그룹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공사담당자의 직무 및 명칭 통합 필요성과 통합된 적정명칭, 적용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한편으로는 건설현장 공사담당자와 가장 밀접하게 교류하고 있는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 86명으로 하여금 건설현장 공사담당자가 안전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는지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공사담당자가 두 개의 법에서 정하고 있는 법적 직무와 안전활동 참여도, 안전활동 이행도, 안전활동 협조도, 확인철저 등 총 2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그룹 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결과 공사담당자의 통합명칭은 ‘안전관리감독자’로 선정하였으며 직무는 두 개 법 직무의 합집합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에게 실시한 공사담당자의 안전업무 수행 설문결과는 전체의 80.0% 이상이 안전직무 수행을 보통 이하로 나타나 공사담당자의 안전업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명칭, 직무 적용방안으로 안전복장기준(안전모, 안전조끼) 수립 및 착용, 홍보 게시판 게시, 선포식 행사, 교육 강화, 각종 회의 시 공유 등을 통해 ‘안전관리감독자 제도’를 사업장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향후 적용방안을 일정기간 실행하여 ‘안전관리감독자’의 업무수행 실태 및 재해발생 빈도, 점검 지적건수 등을 도입 전·후 비교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면 정부 부처에 법규 개정을 건의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Among the safety-related laws applied at construction site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ssign different titles and responsibilities to construction site managers. This discrepancy has caused significant confusion on-si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ed for unifying the titles and duties of construction managers under bo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propose appropriate titles and responsibilities, and suggest practical implementation method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experts, the integrated title “Safety Management Supervisor” was selected. The responsibilities of this role were derived by combining those stipulated under both aforementioned laws. As a strategy for implementation, the study proposes launching a “Safety Management Supervisor System Implementation Campaign” as part of a broader safety culture initiative. This would involve establishing and enforcing standards for safety gear (such as hard hats and safety vests), posting information on public bulletin boards, hosting declaration ceremonies, strengthen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romoting awareness through regular meetings. By exploring the unification of titles and responsibilities as well as practical methods for ap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dopting its recommendations c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ducing workplace accidents and improving safety outcomes at construction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건설현장 공사담당자의 직무수행 실태분석 및 명칭 등 통합 도출
Ⅳ. 건설현장 공사담당자의 통합명칭 적용방안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수찬(Soo Chan Oh),이병길(Byoung Kil Lee),안승용(Seung Yong Ahn). (2025).안전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현장 공사담당자 명칭, 직무통합 적용방안 연구. 안전문화연구, (), 91-105

MLA

오수찬(Soo Chan Oh),이병길(Byoung Kil Lee),안승용(Seung Yong Ahn). "안전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건설현장 공사담당자 명칭, 직무통합 적용방안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5): 91-10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