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이용수 12

영문명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Workplace Bullying in Small Enterprises: A Routine Activities Theory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중곤(Joongg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57~7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영세관광사업체 노동실태조사 자료에 포함된 28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내 괴롭힘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범죄발생의 상황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는 Cohen과 Felson(1979)의 일상활동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이로부터 도출된 피해자의 취약성, 가·피해자의 조우 가능성, 조직의 폭력 보호체계, 합리적 직장문화 등을 주요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주당 근무시간과 CCTV 감시 수준이 높을수록 직장 내 괴롭힘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해자와 피해자의 접촉 가능성이 직장 내 괴롭힘의 중요한 설명요인임이 확인되었 다. 반면 피해자의 지위 취약성이나 고용 불안정성과 같은 취약성 관련 변수들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합리적 직장문화는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요인이었으나, 폭력 보호체계와 같은 제도적 장치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다만, 폭력 보호체계는 합리적 직장문화를 매개로 직장 내 괴롭힘피해를 간접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의 발생이 개인적 특성보다는 조직의 구조적·문화적 요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제도적 장치의 실질적 운영과 더불어 신뢰기반감독 등 인간 중심의 근무관리 방식이 조직문화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workplace bullying by utilizing data from a labor conditions survey conducted on 289 employees working in small-scale tourism businesses in Jeju, South Korea. Drawing on Cohen and Felson’s (1979) Routine Activities Theory, which emphasizes the situational context of victimization, the study identifies ke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mployee vulnerability, convergence between offenders and targets (e.g., weekly working hours, surveillance level), organizational protective systems, and rational workplace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ed working hours and higher levels of CCTV surveillance are associated with a greater likelihood of experiencing workplace bullying,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offender-target convergence. In contrast, vulnerability-related factors such as precarious job status and employment insecurity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Rational workplace culture significantly reduced the likelihood of bullying, whereas institutional protective measures showed no direct effect. However, these protective systems indirectly reduced workplace bullying by fostering a rational workplace cul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uctur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re more influential than individual traits in explaining workplace bullying.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ot only implementing formal systems but also adopting trust-based supervision and human-centered management practic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중곤(Joonggon Kim). (2025).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한국치안행정논집, 22 (2), 57-73

MLA

김중곤(Joonggon Kim).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한국치안행정논집, 22.2(2025): 57-7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