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와 발전방안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the use of psychological autopsies and development plans in military death case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윤한국(Han-Kuk Yun) 조은경(Eun-Kyung Jo)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1권 제3호, 173~19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군대에서 사망사건이 발생하면 군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군 사망사고 유형 중에서 자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군에서는 그동안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여 왔고, 그 결과 군의 자살률은 사회의 자살률보다 낮게 나타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2023년 기준 최근 5년 간 통계에 따르면 군에서 연간 60여건의 자살이 발생하고 있으며, 군 전체 사망자 중에서 여전히 자살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저출생에 따른 병력자원 감소와 초급간부 부족, 군사법원법 개정에 따른 3대 범죄 민간이관 등 대내·외 환경변화로 인해 군 자살예방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었다. 따라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정교한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심리부검은 사망자의 심리·행동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망원인 규명 및 자살예방을 위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군에서는 2008년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심리부검을 도입한 이래, 주로 군 수사기관을 중심으로 사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심리부검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군 심리부검 실태분석을 위해 군 수사기관 관계자에 대한 면담과 심리부검 보고서 등 자료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군에서는 자살사건을 중심으로 심리부검을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으나 심리부검의 활용이 주로 수사목적에만한정되어 있고 표준화된 절차가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발전방안으로 자살예방의 관점에서 심리부검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군 심리부검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과 함께 준비/의뢰단계, 시행단계, 활용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bout 60 suicides occur annually in the military, and suicide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all deaths in the militar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military suicide has increased due to the decrease in military resources and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due to low birthrates. Therefore, elaborat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based on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Psychological autopsy is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dead, and is being actively studied to identify the cause of death and prevent suicide. Since the military introduced a psychological autopsy by the military's investigation committee in 2008, psychological autopsy has been mainly used by military investigative agencies to determine the cause of deat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actual state and problems of the use of psychological autopsy in military death cases and suggesting development plans. For the study, data surveys such as interviews with military investigative agency officials and psychological autopsy repor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psychological autopsy is mainly limited to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and standardized procedur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the military. As a development plan for this, we suggested that the military psychological autopsy paradigm should be changed so that psychological autopsy can be used from the perspective of suicide prevention, and we also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preparation/request stage, implementation stage, and utilization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
Ⅳ. 군 심리부검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한국(Han-Kuk Yun),조은경(Eun-Kyung Jo). (2024).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21 (3), 173-192

MLA

윤한국(Han-Kuk Yun),조은경(Eun-Kyung Jo). "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21.3(2024): 173-19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