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erial murder types in Korea :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Holmes and DeBurger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신성원(Sung-Won Si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1권 제3호, 149~1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0
국문 초록
한국에서 연쇄살인은 1970년대부터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인 에게 큰 두려움을 유발하고 있다. 1970년대 이래 연쇄살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학계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다수의 소중한 생명을 영구적으로 말살하는 연쇄살인은 그 사회적 해악성이 매우 큰 범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살인 및 연쇄살인의 개념,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한국의 주요 연쇄살인 사례를 검토한 후 이를 Holmes와 DeBurger(1985)가 제시한 연쇄살인범의 범행동기에 따른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한국의 주요 연쇄살인범 사례에서는 1970년대부터 2000년에 이르는 대표적 연쇄살인범 15건을 살펴보았다. 이 사례들을 연쇄살인범의 동기유형별 범죄현장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연쇄살인범의 유형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연쇄살인범을 범죄현장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동기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유형은 스릴형(자극추구형)이었고 사명형, 권력형, 위안형(금전추구형)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환청, 환각, 환영 등의 지시에 따라 사람을 살해하는 유형인 망상형 연쇄살인범은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범죄현장 분석은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개되지 않거나 밝혀지지 않은 내용은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 동안 주관적으로 이루어진 한국의 연쇄살인범에 대한 유형화를 처음으로 객관적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하여 향후 이루어질 한국의 연쇄살인 연구 및 수사에 선험적 가이드라인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Serial murders have occurred continuously in Korea from the 1970s to the 2020s, causing great fear in the general public. Unlike in the United States, where various studies on serial murder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1970s,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n academic circles. However, serial murder, which permanently destroys many precious lives, is a crime with great social harm, so there is need to research it.
Accordingly, in this study, I looked at the concepts of serial murder and previous studies, reviewed major serial murder cases in Korea, and categorized them into typ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crime motive of serial murderers presented by Holmes and DeBurger(1985).
In the case of major serial murders in Korea, we looked at 15 representative serial murderers from the 1970s to 2000. In these cases, the types of serial murders were examined based on crime scene analysis by type of serial murderer's motive.
As a result of examining Korean serial murders by motive type based on crime scene analysis, the most common type was thrill-seeking type, followed by mission-oriented type, power/control-oriented type, and comfort(money-seeking) type. Visionary type serial murders were not foun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crime scene analysis in this study was based on publicly available data, there are limitations in not reflecting undisclosed or hidden contents. However, for the first time, the subjective typification of serial murders in Korea was based on objective standards. I anticipate that the classification will serve as an a priori guideline for future serial murder research and investigation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의 주요 연쇄살인범 사례
Ⅳ. 한국의 연쇄살인범 유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