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

영문명
The Effect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on Crime Fear in Poor Area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박찬혁(Chan-Hyeok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2호, 59~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빈곤층 밀집지역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기존 국내선행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해당지역에 대한 범죄와 관련된 연구들의 진행이 주를 이루지는 않았다. 국외 선행연구에서는 범죄 영향요인으로 경제적 빈곤의 영향력이 뚜렷하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반해, 국내에서는 범죄주요 변인 및 범죄피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빈곤지역을 중심으로 셉테드 사업을 확장하기도 하였으나, 최근 물리적 범죄 이외에 사이버 범죄의 증가 등의 동향을 고려하여 볼 때, 범죄예방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범죄의 실태보다 범죄두려움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성에 기여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빈곤층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Ⅲ)’의 2차 데이터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곡선추정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빈곤지역의 경우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무질서와 집합효율성은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인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범죄 예방교육을 경험한 빈곤층 밀집지역 주민일수록 범죄두려움에 대한 평균점수가 더 유의미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즉, 빈곤층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교육을 점검하여 내실화를 바탕으로실질적인 범죄예방뿐만 아니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이 연구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in areas where the poor are concentrated, which are found in previous domestic studies, but studies related to crimes in the area have not been mainly conducted. While previous studies abroad have reported that the influence of economic poverty is not clear as a factor influencing crime, i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variables of crime and crime damage in Korea. As a result, the septed project has been expanded in Korea, mainly in poor areas, but considering the recent trend such as the increase in cybercrime in addition to physical crime, crime prevention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on reducing crime fear, focusing on areas where the poor are concentrated, to see if it contributes to emotional stability caused by crime fear rather than the actual situation of crime.. As a research method, it was analyzed using the second data of the Korea Institute for Criminal Policy's “Study 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Policy to Guarantee Public Safety (III).”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curve estim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28.0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case of poor areas, disorder and collective efficiency of informal social control did not appear to be factors influencing crime fear. In the case of the impact of crime prevention education,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for crime fear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residents of the poor who experienced crime prevention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used as basic data to make policy suggestions so that crime prevention education for poor dense areas can be checked and effective in reducing crime fear as well as actual crime prevention based on interna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혁(Chan-Hyeok Park). (2023).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20 (2), 59-76

MLA

박찬혁(Chan-Hyeok Park).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20.2(2023): 59-7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