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Improvement of Joint Response System for Emergency Reporting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종철(Jong-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4호, 95~1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국문 초록
긴급신고 공동대응은 그간 긴급신고 대응기관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초기대응 과정의 부실과 중요성 부각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진 제도이다. 위 제도는 「긴급신고전화 신고이관·공동대응 처리규정」에 근거하며 2016년 10월 긴급신고 전화번호가 통합되면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공동대응 제도를 실시한 지 벌써 5년이 지났지만, 기관 간의 여러 이견이 존재하고 이로 인한 갈등도 발생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 파악을 위해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5년 간의 누적 자료와 2021년 2월 한 달 간의 통계를 통해 경찰·소방·해경 간의 ‘긴급신고 공동대응제도’ 운영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5년 간의 전체 신고건수 중에 공동대응을 요청하는 비율은 ‘소방’이3.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2021년 2월 한 달 간의 공동대응 요청 비율 역시 ‘소방’이64.2%로 가장 높았다. 반면, 2월 한 달 간의 공동대응 요청에 가장 많이 대응하는 기관은 ‘경찰 (60.8%)’로 나타나서, 경찰이 자체 신고 외에도 상당히 많은 건수의 공동대응 요청 신고를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긴급신고 공동대응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접수자의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긴급신고 공동대응 요청방법을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판단하도록 개선하여야 하며,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를 공동대응의 실질적 타워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위상과 권한을 강화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공동대응 요청 사건에 실제 출동하는 기관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자발적인 공동대응 자제 및 협조를 이끌어내야 할 필요가 있고, 경찰과 소방의 장비 및 기술 지원 등 유기적인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의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영문 초록
Joint response to emergency reports has been newly created due to the poorness and importance of the initial response process caused by the wrong judgment of emergency report response agencies. The above system was implemented in October 2016 when emergency report phone numbers were integrated based on the 「Regulations on Transferring Emergency Report Calls and Handling Joint Response」. However, five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 joint response system was implemented, but many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a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s and conflicts arising from it.
In order to identify such problems,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mergency reporting joint response system' between Police, Fire and Coast Guard through accumulated data for five years from 2016 to 2021 and statistics for one month in February 2021.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total number of reported cases over the past five years, ‘Fire’ showed the highest rate of 3.5%. In addition, the ratio of joint response requests for a month in February 2021 was the highest at 64.2%. On the other hand, the largest number of joint response requests for the month of February was ‘Police(60.8%)’, indicating that the police were handling a considerable number of joint response requests in addition to their own repor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n order to activate the joint emergency report response system, the request method shall be improved to determine the joint emergency report response request based on arbitrary and subjective judgment based on objective data, and the status and authority shall be strengthen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tower for joint respons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duce voluntary restraint and cooperation by giving bold incentives to organizations that actually respond to the joint response request case, and efforts to strengthen organic cooperation such as equipment and technical support from ‘Police’ and ‘Fire’ are very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긴급신고 공동대응의 운영 현황
Ⅳ. 긴급신고 공동대응의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