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ds and Features in the Research of Private Investigator: Focused on academic journals listed in KCI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승철(Seung-Cha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4호, 213~2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탐정학 연구경향 및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게재된 7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탐정학 태동기(2006-2013), 탐정학 성장기(2014-2020)로 구분하고 연구자 특성및 연구논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자 특성에서 성별은 남성이, 직위에서는 교수가, 지역은 수도권이, 연구비지원은 순수학술연구가, 연구유형은 공동연구가, 연구자들의 소속은 경찰행정(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 특성에서 연구영역은 탐정제도 도입 필요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이, 피인용 횟수에서는 탐정학 태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탐정학과 밀접하다고 생각되는 경찰학 연구의 경향과도 유사만 결과이지만 여성 연구자의 비율, 공동연구의 활성화, 직위에서의 다양성 등은 경찰학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탐정학의 학문적인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연구제목에 있어서의통일성이 필요하다(탐정 및 민간조사). 둘째, 안정적이며 심화 있는 연구를 위하여 연구비지원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탐정학이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탐정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도 더욱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77 papers publish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were divided into the beginning of Private Investigator studies (2006-2013) and the growth period of Private Investigator (2014-2020),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men of gender, professors of position, professor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earch non-supporting areas are pure academic research, police administration is co-researching, research subjects are private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are used for research, and research areas are required,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highly likely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tendency of police research, which is thought to be close to Private Investigator studies, but the proportion of female researchers, the activation of joint research, and the diversity in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that of police studies.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Private Investigator, more diversity is needed in areas such as funding for research, regions, and research fields.
Suggestions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Private Investigator, firstly, need unity in the subject of research (detection and private investigation). Second, research funding research should be actively utilized for stable and in-depth research. Third, systematic and continuous research will have to be carried out in order for Private Investigator to develop into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