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이용수 0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임창호(Chang-Ho L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2호, 193~21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란 시민들이 경찰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감정적 태도를 갖고 있는정도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모델 이외에 경찰 성과 모델, 삶의 질 모델, 경찰 접촉 모델, 집합적 유효성 모델에 기초해서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198명의 시민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중다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들만을 투입한 Step 1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인식(β=6.376, p<.001), 경찰 효과성 인식(β=2.629, p<.01), 지역 무질서(β=2.400, p<.05), 주요 범죄의 발생 인식(β=-2.241, p<.05)이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보여주었다(R²=.357). 반면에, 독립변수와 통제변수(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함께 투입한 Step 2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인식(β=6.055, p<.001), 경찰 효과성 인식(β=2.465, p<.05), 지역 무질서 인식(β =2.071, p<.05), 남성(β=1.930, p<.05)이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주는 것을 보여주었다(R²=.365). 따라서, 분석 결과에 기초할 때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찰청은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활성화시키고, 경찰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 means the degree to which citizens have a positive emotional attitude toward poli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 based on the police performance model, community policing model, quality of life model, police contact model, and collective effectiveness model.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8 citizens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regression analysis, Step 1, where only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corporated, showed perception of community policing(β=6.376, p<.001),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β=2.629, p<.01), and perception of local disorder(β=2.400, p<.05), perception of occurrence of major crimes(β=-2.241, p<.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R²=.357). On the other hand, Step 2, wh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demographics) were put together, indicated perception of community policing(β=6.055, p<.001),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β =2.465, p<.05), perception of local disorder(β=2.071, p<.05), and male(β=1.930, p<.05) exe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R²=.365). Therefore, to improve citizens’ satisfaction with polic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National Police Agency needs to try to activate community policing, and enhance police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정책적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창호(Chang-Ho Lim). (2020).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논집, 17 (2), 193-210

MLA

임창호(Chang-Ho Lim).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논집, 17.2(2020): 193-21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