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uggested Program Related to Building Safe Communities in Gumi City: Focusing on Measures to Mitigate Fatal Injuri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대운(Dae-Woon Kim) 이미화(Mi-Hw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4권 제4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난 2017년 9월 20일, ‘국제안전도시 공인 선포식’을 열고 회원도시 자격 획득을 공표한 구미시에서 현재 운용되고 있는 국제안전도시 손상사망 예방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구미시 고유 손상원인에 특화된 프로그램들의 정책적 운용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안전 향상을 위해 권고될 수 있는 손상관리강화 전략의 기본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손상사망 원인을 피해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① 구미시의 3대 사망원인(교통사고·자살·낙상) 중 자살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② 구미시의 손상사망자 2명 중 1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의도적 손상사망자 유형인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다만, ③ 자살을 제외한 생활주변에서 발생하고 있는 비의도적 리스크(중독, 익사, 화재, 자전거 사고, 질식 등의 안전사고)에 대한 방지체계의 경우 구미시가 오히려 타 해외국가들에 비해 훨씬 앞선 역량을 갖춘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상의 구미시 사망손상문제에 대한 평가와 이해를 바탕으로 구미시의 손상사망 문제의 본질은 고위험 계층인 64세 이상 고령층의 사회안전망 부실에 있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완충역할을 해줄 수 있는 고령친화 지원 프로그램의 구축 등 구미시가 국제안전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활성화돼야 할 지침을 제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 City Program relating to intentional self-harm injury prevention in Gumi city, which achieved recognition as an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on September 20th, 2017.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inform and present the possible policy direction of the program; then derive the recommended direction of the injury management strategy that would help promote the local safety.
After analyzing the causes of death by injury types, the study found that ① the suicide injury was over-represented among the top three causes of death in Gumi city encompassing traffic accidents, suicide and falls, ② roughly 1 out of every 2 death were ultimately caused by intentional self-inflicted suicidal injury, ③ yet, besides the suicide rate,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safety measures against unintentional risks(poisoning, drowning, fire, bicycle accidents, suffocation, etc) were quite effective and even far ahead of other international countries.
Based on the review, it was determined that the essence of the death problem in Gumi wa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lack of social safety net for the high-risk aged group aged 64 and over. Thus, this study proposed a need for more vigorous strategies aimed at the elderly support programs and social services that would provide a buffer against suicide and self-inju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구미시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활동현황
Ⅳ. 구미시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