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이용수 18

영문명
Causes of the Failure of Ukraine's Counteroffensive in June 2023 and Implicati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주정율(Jungyoul Joo)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257~29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배경과 준비과정, 러시아의 방어작전 준비과정을 살펴보고, 반격작전의 진행 경과를 각 전선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4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부 전선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병력을 분산하여 남부 전선에서 전투력 집중에 실패하였다. 둘째, 제한된 서방의 지원 속에 작전의 형태가 소모전으로 변화하면서, 지속지원의 한계가 있었다. 셋째, 반격 시기가 지연될수록 러시아군의 방어선은 강력해졌다.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작전을 준비하는 동안 러시아군은 6월까지 다층적 장애물과 UAV, 포병 등을 결합한 준비된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넷째, 러시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제병협동전투 능력이 부족하였다.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바탕으로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다수의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하였고, 현대전과 러시아군의 전술을 학습할 것이다. 따라서 북한군은 러시아군의 준비된 방어선을 토대로 방어작전을 준비할 것이기 때문에 향후 변화될 북한의 방어작전을 분석하고, 대비해야 한다. 둘째, 출산율 저하 등으로 북한에 대비해 양적 우위를 달성할 수 없다면, 작전계획에서 전투력 집중과 분산을 고민하고 보완해야 한다. 셋째, 군사작전 지원을 위한 방위산업과 전시 산업 동원능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제병협동전투 능력과 합동작전 능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연합 및 합동훈련을 지속해서 실시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ailure of Ukraine’s June 2023 counteroffensive and extracts key less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ROK) Armed Forces. The analysis examines Ukraine's operational environment, force preparation, Russian defensive measures, and the execution of the counteroffensive across multiple fronts. Based on these assessments, four primary factors contributed to Ukraine's operational failure. First, in an effort to address threats along the eastern front, Ukrainian forces were distributed across multiple axes, undermining combat power concentration in the decisive southern sector. This dispersion prevented the massing of forces necessary for a breakthrough. Second, with constrained Western military aid, the operation devolved into a protracted war of attrition. Sustained logistical and materiel support proved insufficient for extended offensive maneuvers, limiting operational tempo. Third, as the timeline for Ukraine’s offensive was postponed, Russian forces solidified their defensive positions. By June 2023, Russia had established a deeply echeloned defensein- depth incorporating integrated obstacles, unmanned aerial systems (UAS), and layered kill zones. Fourth, Ukrainian forces lacked the requisite proficiency in joint and combined arms warfare to penetrate Russia’s prepared defensive lines effectively. Tactical coordination between maneuver elements, indirect fires, and enablers was insufficient to achieve decisive breakthroughs. Based on the causes of Ukraine’s counteroffensive failure, the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 has deployed personnel to Russia, likely gaining insights into modern warfare and Russian defensive methodologies. The ROK military must anticipate an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nsive tactics based on Russian warfighting principles and adjust operational planning accordingly. Second, given the declining birth rate and the resulting inability to achieve numerical superiority over North Korea, South Korea must consider and enhance the concentration of combat power in operational planning. Third, South Korea must bolster its defense industrial capacity and wartime mobilization mechanisms to ensure resilience in protracted engagements and sustained logistical support. Fourth, the ROK military must prioritize integrated multi-domain operations, advanced combined arms maneuver training, and interoperability with allied forces. Continuous joint and coalition exercises are essential to maintaining readiness against evolving threats.

목차

Ⅰ. 서 론
Ⅱ. 반격작전의 배경과 준비
Ⅲ. 러시아의 방어작전 준비
Ⅳ. 반격작전의 지역별 전개
Ⅴ.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
Ⅵ. 결론 : 한국군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국방정책연구
  • 전략연구
  • 한국군사학논총
  • 군사연구
  • 국방정책연구
  • 국방연구
  • 국제정치연구
  • Survival
  •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 DANUBE Institute
  •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 War in Ukraine: Conflict, Strategy, and the Return of a Fractured World
  • The Center for Naval Analyses
  •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정율(Jungyoul Joo). (2025).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전략연구, 32 (2), 257-291

MLA

주정율(Jungyoul Joo).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전략연구, 32.2(2025): 257-29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