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ategic Evolution of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and South Korea’s Response Strategy: Reflections after the 2024 Filth Balloon Incident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장재규(Jaekyu Jang)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43~7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연구는 2024년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 사례를 출발점으로 삼아, 북한 군사적 도발양상의 변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발 양상을 예측하며,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군사적 도발 개념과 전략환경 변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이어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기에 나타난 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정권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일관되게 활용되어 왔으며, 전략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발 방식은 점차 간접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도발이 저강도·비가시적 양상을 띠며, 한국의 명확한 군사적 대응을 곤란하게 만드는 특징을 보인다. 향후에도 북한은 고강도 재래식 도발보다는 간접적이고 심리전적인 수단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한국은 도발을 완전히 억제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보다 유연하고 통합적인 대응 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begins with North Korea’s 2024 “filth balloon” provocation and aims to analyze the underlying causes behind the changing patterns of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forecast future trends, and explore strategic response options for South Korea. To this end, the study first constructs an analytical framework grounded i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military provocation and changes in the strategic environment. It then conducts a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strategic evolution of North Korean provocations under the regimes of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un.
The findings reveal that North Korea has consistently used military provocations as a tool to achieve its political objectives, and that the form of these provocations has gradually shifted to more indirect and asymmetric method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trategic environment. Under Kim Jong-un, provocations have become notably low-intensity and less visible,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South Korea to mount a clear military response. In the future, North Korea is more likely to rely on indirect and psychological means of provocation rather than high-intensity conventional attacks. Accordingly, South Korea must recognize the limitations in completely deterring such actions and develop a more flexible and integrated strategy in response.
목차
Ⅰ. 서 론
Ⅱ. 군사적 도발 개념과 분석 틀
Ⅲ. 북한 군사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
Ⅳ. 오물풍선 사건의 함의와 북한 도발 양상의 변화 전망
Ⅴ.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