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Probing of Global Issues using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윤노아(Noah Yoon) 최윤정(Yoonjung Cho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417~4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텍스트·이미지 기반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국제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탐구한 교육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사회과교육에서 AI 활용 교육 및 교수·학습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 경상 소재 4개 교원양성기관의 사회교육 전공 예비교사 66명이 참여한 ‘생성형 AI 활용 국제 이슈 탐구’ 수업의 결과물을 양적 및 질적 방법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선택한 국제 이슈는 시의성과 지역적 인접성이 높은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제 이슈 탐구 과정에서 생성형 AI가 제공한 텍스트 및 이미지 응답 결과는 중립성, 선택성, 편향성, 환각 등의 특성을 보였다. 예비교사들은 생성형 AI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 제공, 시각자료 생성의 신속성, 탐구 심화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적 기능에 대해 교육적 유용성을 인식하였다. 반면, 정보의 정확성 결여, 알고리즘 편향, 결과의 무비판적 수용 가능성 등은 주요한 한계로 지적되었다. 특히 정치적 민감성이 높은 주제에서 AI 응답의 중립성 문제와 질문 방식에 따른 응답의 차이는 AI 리터러시 함양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AI 활용 교사교육의 방향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s in AI-aided global issues exploration using generative AI in teacher education courses. Adopting a mixed-method research approa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ports created by 66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social studies at four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Exploring Global Issues Using Generative AI” program. The findings show that the international issues that pre-service teachers sought to explore through generative AI tended to converge on topics with high timeliness and strong regional proximity. In the AI-generated textual and visual outputs, four prominen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neutrality, selectivity, bias, and hallucination.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educational utility of generative AI in providing synthesized and structured information, rapid image generation, and interactive support for deeper inquiry, they also pointed out limitations such as informational inaccuracy, implicit bias, and the risk of uncritical acceptance of AI outputs. Furthermore, the neutral stance of generative AI on politically sensitive topics and its differential responses depending on question formulation highlighted the need for AI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draws critical attention to the pedagogical potential of generative AI in social studies and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future AI-integr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