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Epistemic Cognition: Implications for Theoretical Model and Measurement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윤초희(Chohee Yoon) 송은희(Eunhee S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267~29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학 전공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인식적 인지(epistemic cognition: EC)의 특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색하고, 기존 EC 모형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예비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의 본질과 앎의 과정에 대한 신념에서 여섯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비-인식적 목표(시험 대비, 우수한 성적 추구)에서 인식적 목표(지식 습득 및 적용, 이해 확장, 신념 검증)까지 다양한 학습 목표를 보여주었고, 이러한 목표는 활동의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지식의 유형(사실 대 개념지식, 일상 대 학교지식 등)에 따라 지식의 본질을 다르게 인식하였다. 셋째, 지식의 확실성은 지식이 속한 영역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넷째, 지식의 구조에 대해서도 지식 유형에 따른 차별적 인식이 나타났다. 다섯째, 지식 정당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경험, 논리, 타인의 의견 등)이 활용되었으며, 여섯째, 전문가는 신뢰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식 출처로 인식되었다. 연구는 예비교사의 인식적 인지가 교과 영역, 상황적 맥락, 지식의 유형에 따라 유동적임을 보여주며, 기존 인식적 인지 모형의 확장과 EC 검사의 재구조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pistemic cognition (EC) among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nd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expanding existing EC models.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six major themes regarding their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and the process of knowing.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a range of learning goals, ranging from non-epistemic aims (e.g., preparing for exams, achieving high grades) to epistemic ones (e.g., acquiring and applying knowledge, expanding understanding, testing beliefs), with goals varying depending on the activity’s context.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and perceived that the nature of knowledge varied accordingly. Third, the certainty of knowledge was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omain and type of knowledge. Fourth, they showed varying levels of understandings of the simplicity of knowledge depending on the type of knowledge. Fifth, various methods—such as personal experience, logical reasoning, and others’ opinions—were employed to justify knowledge. Sixth, experts were regarded as trustworthy and essential sources of knowledge. This study highlights that pre-service teachers’ epistemic cognition is fluid and context-dependent, varying across academic domains, situational contexts, and types of knowledge. The findings offer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xtending existing EC models and for restructuring epistemic cognition questionnai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