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이용수 24

영문명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Moderated by Self-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alent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강부자(Buja Ka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223~2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가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주도성이 매개변인을 조절하여 작용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첫째,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재능봉사활동 만족도가 진로탄력성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자기주도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진로탄력성과 자기주도성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중요한 심리적 자원으로, 특히 자기주도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재능봉사활동에 대한 만족감이 진로탄력성을 강화시키고 이는 진로준비행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데 기여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의 구조적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의 진로설계 및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alent-based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whether self-directedness moderates this mediating effect.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84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alent-based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self-directednes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tronger among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lf-directedn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alent-based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directedness, reveal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er resilience and self-directedness are essential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contribute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higher self-directedness are more likely to translate satisfaction with talent-based volunteer activities into enhanced career resilience, which in turn promotes more active engagement in career prepa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부자(Buja Kang). (2025).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열린교육연구, 33 (4), 223-245

MLA

강부자(Buja Kang). "대학생의 재능봉사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으로 조절된 진로탄력성 매개효과 연구." 열린교육연구, 33.4(2025): 223-24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