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Wages among Young People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박천수(Cheonsoo Park) 박화춘(HwaChoon Park) 문승태(Seung-Tae Moo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199~2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청년층은 학교 졸업 후 일자리로 이행에서 상당한 곤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청년패널조사 자료와 계량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년층의 일자리 이행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청년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는 평균 100점 기준으로 72.48점이고, 임금은 210.1만원이다. 성별로 일자리 만족도는 여자가 높고, 임금은 남자가 유의미하게 높다.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의 학력수준별 격차는 다른 격차에 비하여 격차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다. 재직하는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수준이 높아지는데, 소규모 기업 종사자의 불이익이 뚜렷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남자의 일자리 만족이 여자보다 100점을 기준으로 0.9점 정도 낮으나, 임금은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적으로 9.4% 높다. 학력 수준별로 고졸과 비교하여 전문대졸에서 만족도 격차가 없고 대졸 이상은 9점 이상 높다. 임금은 여자를 중심으로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 청년층이 체계적으로 높다. 일자리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임금수준도 체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보상적인 임금 격차보다 가속적인 임금 격차가 유지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Young people in Korea face considerable challenges in transitioning from school to employ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wage level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job transitions among young people. The Youth Panel Survey (YP2021_W1) were used.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d youth is 72.48 points on a 100-point scale,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is approximately 2,100,000 Korean won. Gender-based analysis indicates that women report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an men, whereas men earn significantly higher wage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Among various factors, the disparity in job satisfaction and wages by educational attainment is more pronounc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disparities by gender or occupation. Job satisfaction and wage levels tend to increase with the size of the employing firm, highlighting a distinct disadvantage for workers in small enterprises. Notably, employees in medium-sized and large firms report comparable levels of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suggesting that the primary gap lies between small and non-small firms. Regression analysis further reveals that,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male workers exhibit job satisfaction levels 0.9 points lower than females, while their wages are, on average, 9.4% higher. Compared to high school graduates,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show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whereas those with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report satisfaction levels exceeding their counterparts by more than 9 points. Wages are systematically higher among vocational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particularly among women. Additionally, the analysis find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age levels, indicating that higher satisfaction is associated with higher or increasing wages. This suggests the presence of an accelerated wage gap in the Korean youth labor market, rather than a compensatory wage gap, where wage increases typically offset low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argeted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structural inequalities in job quality and compensation across educational backgrounds, firm sizes, and genders in the Korean youth labor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천수(Cheonsoo Park),박화춘(HwaChoon Park),문승태(Seung-Tae Moon). (2025).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열린교육연구, 33 (4), 199-221

MLA

박천수(Cheonsoo Park),박화춘(HwaChoon Park),문승태(Seung-Tae Moon). "청년층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열린교육연구, 33.4(2025): 199-22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