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I Counseling Research Trends and Practical Challenges: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0-2025)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여주(Yeoju Chung) 팽현지(Hyunji Paeng) 김재헌(Jaeheon Kim) 오정은(Jeongeun Oh)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171~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상담 분야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AI상담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5년 4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등재된 총 276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AI 상담 관련 연구 발행 연도, 연구 대상의 연령대, 집단 특성, 근거가 되는 상담 이론, 플랫폼의 유형 및 비용, 활용된 AI 기술, 처치 효과, 활용영역 변인의 9가지 범주를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I 상담 관련 연구는 2024년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성인, 정신건강 일반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근거가 되는 상담 이론으로는 인지행동치료(CBT)가 주를 이루었다. 플랫폼은 자체제작 연구용과 같이 플랫폼명이 언급되지 않은 경우 외에,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플랫폼 비용은 연구목적의 오픈 소스로 무료인 경우가 대다수였다. 활용된 AI 기술은 머신러닝(ML), 딥러닝(DL), 자연어처리(NLP)을 중심으로 세부 알고리즘 및 아키텍처를 분류하였다. 처치 효과는 긍정적 효과가 많았고, 활용영역은 내담자 직접 지원, 자기이해 및 성장지원, 상담자 역량강화 및 보조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AI상담 관련 연구들의 특징을 설명하고, 향후 연구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I counseling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AI counseling-related research based on them. To this end, a total of 276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from 2020 to April 2025 were collected, and nine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year of publication, age group of research subjects, group characteristics, grounded theory, type and cost of platform, AI technology utilized, treatment effect, and application area variables. The analysis showed that AI counseling research was most active in 2024,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focusing on adults and general mental health population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as the dominant theory. Platform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ypes, unless the platform name was mentioned, such as for homegrown research. The cost of the platforms was mostly free and open source for research purposes. The AI technologies utilized were categorized into machine learning (ML), deep learning (DL),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with detailed algorithms and architectures. The treatment effects were mostly positive, and the areas of use were categorized into direct client support,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support, and counselor empowerment and support. Based on this, the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AI counseling related research to date and provides specific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