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Values in Jeju Dahondi Baeum Schools: Focusing on the Role of the Middle School Innovation Coordinator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영(Eunyoung Kim) 홍지환(Jihwan Hong) 이인회(Inhoi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4호, 43~7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일반학교로 그 성과를 확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에 근무했던 혁신부장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했다. 분석 방법은 Colaizzi의 7단계 분석 방법을 활용했으며, 그 결과 ‘다혼디배움학교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모두의 목소리가 묻어나는 학교 교육과정’, ‘더 나은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을 위한 과제’ 3개의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교육공동체 가치는 교육 3주체가 함께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학교 자치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역량이 강화되었다. 둘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 교사들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하여 수업 나눔 활성화, 관계 회복 등의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셋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관리자들은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리더십을 바탕으로 교직원들이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는 수평적 협의문화와 학교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었다. 넷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 구성원들은 교육공동체 가치 실현 경험을 토대로 교육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모두의 목소리가 묻어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다섯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 교원들은 교육공동체 가치 구현 속에서 민주성과 효율성 간의 고민을 느끼고 있었으며,「제주특별법」교육특례 개정, 일반학교로의 성과 확산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for expanding the experiences of Jeju Dahondi Baeum Schools [JDBS] to general schools through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iddl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realizing the value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department heads who had worked at JDB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laizzi’s seven-step method, resulting in the extraction of three categories: ‘United under the name of Dahondi Baeum School’, ‘A school curriculum reflecting the voices of all’, and ‘Tasks for realizing better educational community valu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mmunity values of JDBS were embodied through school autonomy, with the three main stakeholders of education participating together in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process, the capacities of the members were strengthened. Second, the teachers at JDBS fostered outcomes such as revitalizing lesson sharing and restoring relationships through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rd, the school administrators demonstrated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by practicing horizontal and democratic leadership, fostering a culture of consultation where staff members listened to each other’s opinions. Fourth,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realizing educational community values, the members of JDBS engaged in collaborative reflections on education and developed a curriculum that reflected the voices of all stakeholders. Fifth, the teachers recognized the tensions between democracy and efficiency in implementing educational community values and proposed future tasks such as revising the Special Act on Jeju related to educational privileges and spreading the achievements of JDBS to general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