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 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태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in Total Coordination Styling on Perceived Design Value : An Empirical Study on the Mediating Role of Design Attitude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김유빈(Yu Been Kim) 김혜균(Hye Kyun Kim)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8호, 195~2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토탈 코디네이션 스타일링의 디자인 평가 요소가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자인 태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1년 이내 해당 서비스를 경험한 여성 소비자 27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 회귀분석, PROCESS Macro(Model 4)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 평가 요소 중 창의성, 심미성, 자기표현력은 디자인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조화성, 기능성, 전문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디자인 태도는 디자인 가치 인식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효과 분석 결과 디자인 평가 요소는 디자인 태도를 매개로 가치 인식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융합적 스타일링 경험을 반영하여 소비자 인식 구조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소비자 특성과 자극물을 반영한 확장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design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evaluation factors of total coordination styling and consumers’ perception of design value.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275 female consumers aged 20 and older who had experienced total coordination styling services within the past year. The research model was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design evaluation factors, creativity, aesthetics, and self-expre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esign attitude, whereas harmony, functionality, and professionalism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Design attitude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design value and served as a key mediating variable. Furthermore, the medi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design evalu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design value perception via design attitud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mpirical understanding of consumer perception structures by incorporating the integrated design experience of total coordination styling.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diverse consumer groups and multiple types of styling stimuli to enhance generalizabil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실증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