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novation Proposals for Secondary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한민정(MinJeong Han)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23~1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시대 교육환경 변화에 직면한 중등교육 체제의 총체적 분석과 재구조화 필요성 탐색에 있다. 기존의 노동력 생산 중심 교육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식기반사회 전환 속에서 새로운 교육적 지평을 열기 위한 다차원적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중심의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핵심 분석체계로 찰스 리드비터의 ‘교육 혁신 사상’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 혁신을 두 방향과 네 유형으로 구분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는 1950년대부터 2010년대 이후까지 시대별 중등교육 쟁점을 분석하고, 일본문부과학성의 3축 모델을 적용하여 학교 교육 역할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OECD 교육 2030과 UNESCO 교육 2050 보고서의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교육부와 지자체 교육청의 정책문서 및 관련 학술연구를 종합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등교육 혁신을 위한 5가지 핵심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노동력 생산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단편적 정보 전달 대신 학습자를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협업적 문제해결 중심의 교육과정 재편이 요구된다. 셋째, 자기 주도성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에 초점을 둔 미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역량 기반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격차 해소와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교육 형평성 구현이 중요하다. 다섯째, 환경 책임, 사회정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 형성을 통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교육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특히 중등교육의 확장된 역할로서 개인 학업 성과 중심에서 사회적 유대를 통한 공공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포괄적 체계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structuring needs of secondary education systems facing changes in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environment, aim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abor-centered educational model and propos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for the transition to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research adopted a qualitative methodolog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ith Charles Leadbeater's ‘Mapping Education Innovation’ model as its analytical framework. This framework categorizes educational innovation into two directions (formal/informal learning, sustaining/disruptive innovation) and four types (improve, supplement, reinvent, and transform). The research procedures analyzed secondary education issues from the 1950s-70s to the post-2010s, applied the three-axis model of Japan's Ministry of Education, and compared the OECD Education 2030 and UNESCO Education 2050 reports. Five key innovation tasks emerged: a fundamental paradigm shift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curriculum reorganization emphasiz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based approaches for future adaptability;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equity to bridge digital divides; and sustainability-oriented systems promot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social justice. The study confirms the necessity for comprehensive systems that contribute to public value creation through social bonds rather than a focus on individual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중등단계 학교교육의 쟁점적 현상
Ⅲ. 중등단계 학교교육혁신의 방향
Ⅳ. 결론: 중등교육 재구조화의 시급성과 미래 방향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