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이용수 11

영문명
Differences i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저자명
전종미(Jong-Mi Jeon) 박재헌(Jae-Heon Park) 김준성(Jun-Seong Kim)
간행물 정보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4년제 B대학교 재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습공동체 참여 횟수를 기준으로 미참여, 1회 참여, 2회 이상 참여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 및 인지된 성취도의 평균 및 문항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협력적 자기조절은 반복적 참여 집단일수록 점진적인 향상이 두드러졌으며, 인지된 성취도는 1회 참여 경험만으로도 미참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참여의 빈도와 지속성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역량 및 성취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대학 현장의 비교과 기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differences i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participation in a learning community. A total of 227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regional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Based on participation frequency,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on-participants, one-time participants, and those with two or more particip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s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both total scores and individual it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higher participation level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both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Notably,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repeated participation, while perceived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even after a single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both the frequency and continuity of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self-regulation and achievement perceptions. The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curricular learning community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미(Jong-Mi Jeon),박재헌(Jae-Heon Park),김준성(Jun-Seong Kim). (2025).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융합교육연구, 11 (2), 1-18

MLA

전종미(Jong-Mi Jeon),박재헌(Jae-Heon Park),김준성(Jun-Seong Kim).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융합교육연구, 11.2(2025): 1-1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