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Pain and Pelvic Alignment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김도영(Do-Young Kim) 황성호(Sung-Ho Hwang)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75~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을 겪고 있는 중년 및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통증 지표와 골반 정렬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PICO 기반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수집·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4편의 문헌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문헌이 양적 합성이 가능하여 메타분석에 활용되었다.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다양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중년 및 노인 여성의 통증과 골반 정렬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문헌에서 비뚤림 위험이 ‘높음’ 또는 ‘불분명’으로 평가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통증 지표는 높은 수준의 이질성(I² = 84.5%)을 보였고, 무선효과모형 분석 결과 높은 효과 크기(SMD = -1.48, 95% CI = -1.94; -1.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골반 정렬 지표에 대한 메타분석에서는 높은 효과 크기(SMD = -1.21, 95% CI = -2.38; -0.04), I² = 86.6%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 중재가 만성 요통을 겪는 중년 및 노인 여성의 통증 완화와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임상적 적용 및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indices and pelvic alignment indices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CLBP). PICO-base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and literature was collected and sele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databases. In the end, a total of 14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ll of which were quantitatively synthesized and utilized in the meta-analy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found that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pain and pelvic alignment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However, the risk of skewness was rated as ‘high risk’ or ‘unclear’ in some of the literature. In the meta-analysis, the pain metric showed a high degree of heterogeneity (I² = 84.5%)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high effect size (SMD = -1.48, 95% CI = -1.94; -1.01) in a random-effects model analysis. The meta-analysis of pelvic alignment indicators showed a high effect size (SMD = -1.21, 95% CI = -2.38; -0.04), I² = 86.6%,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exercise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and improving fun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may serve as a basis for future clinical applic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xercis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