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및 남북관계사 서술의 특징 - 북한사 비판주의, 남북관계의 남한 주도성, 통일운동사·통일논의의 부재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Description of North Korean History and Inter-Korean Relations: Focusing on Criticism of North Korean History, South Korea's Leadership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Absence of Unification Movement History and Unification Discussions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형(Ji Hyung Kim)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52호, 137~17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검정과정을 마친 9종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사와 남북관계사 서술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북한사 서술의 경우, 북한 정권 수립의 배경에 해당하는 소련 군정기가 배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부정적 관점에 입각한 비판적 서술 경향을 띤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3대 세습체제’와 경제의 낙후성 및 한계를 중심으로 비판점이 형성되었다. 이같은 서술 경향은 학계의 연구성과 및 관심 주제의 반영이라기보다 한국 사회의 보편적 관심사안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남북관계사 서술의 경우, 남북 상호작용에 의한 원인보다 주로 남한 정부의 노력에 의한 결과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긍정적 의미 부여가 가능한 남북대화의 성과, 즉 역대 남북간의 주요 합의를 중심으로 한 서술 패턴이 고정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의 진퇴 양상과 그 이유 등에 대한 종합적, 입체적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9종 교과서 모두 민간 차원의 통일운동사와 시대별 통일논의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분단 극복을 위해 그동안 정부 당국과 민간 차원에서 함께 노력하고 상호 경쟁, 보완해온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특징들을 고려할 때,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출판사별 특성의 차이는 미미한 정도로 판단되며, 오히려 향후 교과서 검정제도의 현실적 의의에 대한 문제의식을 형성할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마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history of North Korea and inter-Korean relations among the content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2022 curriculum.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of North Korean history is that the period of Soviet military rule was excluded and it was written from an overall negative perspective. This narrative trend reflects the general concerns of Korean society rather than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related academic circles.
In the case of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inter-Korean relations, they were written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ults of the effort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howed a tendency to be described focusing on major agreement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n the other hand, most textbooks do not describe the history of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unification discussion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judg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Korean history textbooks by publisher.
목차
Ⅰ. 머리말
Ⅱ. 북한사 서술의 목적과 모순
Ⅲ. 남북관계사 서술 경향의 특징
Ⅳ. 통일운동사・통일논의 부재의 함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