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nowledge Panorama Visualization: Design Directions Informed by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Structure of Panoramic Painting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류시천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7호, 9~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파노라믹 회화에 내재된 시지각 요소를 인간의 심리적 경험 구조(지각-주의-감정-몰입)와 연계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파노라마 설계에 적용 가능한 시각화 방향을 단계별로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및 미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개의 시지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넓은 시야’, ‘수평선’, ‘구도의 안정성’, ‘색채 대비’, ‘파노라마적 전개’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가 도출되었다. 단계별 분석에서는 지각 단계에서 몰입 진입 구조 형성, 주의 단계에서는 시선 유도 기반 정보 탐색, 감정 단계에서는 정서 자극 설계, 몰입 단계에서는 내러티브 흐름 구현이 각각 강조되었다. 또한 심리 단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지각-주의: r = 0.64, 감정-몰입: r = 0.71)는 시지각 요소가 단절된 기능이 아닌, 지각에서 몰입으로 이어지는 유기적 흐름 속에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각 시각화 요소를 독립적으로 나열하기보다는, 심리적 흐름을 반영하여 단계 간 연결성과 균형을 갖춘 통합적 시각화 시나리오로 설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지침은 지식 파노라마를 단순한 정보 배열이 아닌, 사용자 몰입을 중심으로 구성된 탐험형 시각화 콘텐츠로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는 향후 정보 전달 및 학습 콘텐츠 설계에서 심리적 경험 기반 시각화 전략의 적용 가능성과 중요성을 입증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ual-perceptual elements embedded in traditional panoramic paintings in relation to the four stages of psychological experience—perception, attention, emotion, and immersion—and to derive stage-specific visualization guidelines applicable to Knowledge Panorama desig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design and art exper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24 visual-perceptual elements. Based on weighted scoring analysis, five key elements were identified: wide field of view, horizon line, compositional stability, color contrast, and panoramic progression. Stage-specific finding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stage emphasizes immersive entry through spatial openness, the attention stage requires guided exploration via visual order, the emotion stage benefits from emotional stimulation through color and symbolism, and the immersion stage depends on narrative continuity across scene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ges (perception-attention: r = 0.64; emotion-immersion: r = 0.71) indicate that these elements function as part of a continuous and interrelated visual flow rather than as isolated component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integrated visualization scenarios that reflect the psychological flow across stages, rather than arranging visual elements independently. The proposed guidelines offer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ransforming Knowledge Panoramas into exploratory, immersion-centered visual content rather than simple information listings. Ultimate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and significan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based visualization strategies in future knowledge delivery and educational content 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프레임워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심리적 경험 단계별 지식 파노라마 시각화 설계 방향
Ⅵ. 결론 및 금후 연구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