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lassic Coming to 'Here and Now', New Possibility for Glocalization : Focusing on Simon Stone's play The Cherry Orchard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이태훈(Tae-Hooon Lee)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7집, 63~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24년 서울 LG아트센터에서 공연한 호주 연출가·극작가 사이먼 스톤(Simon Stone)의 연극 <벚꽃동산(The Cherry Orchard)>을 린다 허천의 각색 이론과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상호텍스트성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스톤은 고전을 세계 각국의 현재로 옮겨 각색한 공연으로 주목받았다. 한국에서 재창작을 위해 선택한 희곡은 19세기 말 러시아 배경인 체호프의 <벚꽃동산>이다.
한국판 <벚꽃동산>은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충돌하고 적응하면서 지역 특수성이 드러나고 혼종성이 발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린다 허천이 말하는 문화횡단적 각색의 특징을 보여준다. 원작 속 몰락 귀족 가문의 귀부인 ‘라네프스카야’와 농노출신의 상인 청년 ‘로파힌’은 현재 한국의 파산 직전 재벌 3세 ‘송도영’(전도연)과 청년 사업가가 된 운전기사의 아들 ‘황두식’(박해수)으로 바뀐다. 원텍스트의 구조와 주제를 소환하면서, 구체제가 붕괴하고 자본주의로 이행하던 제정 러시아 말기의 격변은 현대 서울에서 일어나는 폭력적 파국으로 전위(transposition)된다. 등장인물의 역할은 '과거에 머무는 자'와 '미래로 나아가려는 자'의 대립이라는 체호프의 전통적 인물 구조를 계승하지만, 봉건적 계급 구도 대신 새로운 경제적 계급 구조와 세대 간 갈등을 입체적으로 반영한다. 체호프의 ‘벚꽃동산’이 귀족 계급과 구체제의 몰락을 상징하듯, 스톤의 ‘벚꽃동산’은 한국 ‘재벌’과 고속 성장 시대의 종말을 상징한다. 인간존재의 본질적 한계를 드러내는 체호프 특유의 서정적 무력감이나 감정적 모호성이라 할 정서는 재맥락화(Recontextualization)돼 살아 있다. 재해석된 연극 <벚꽃동산>은 한국 버전 그대로 해외 공연에 나선다. 이 연극은 고전이 재해석을 통해 시대와 국경을 횡단하며 새롭게 지역세계화(glocalization)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ses Australian director and playwright Simon Stone's play The Cherry Orchard, performed at the LG Arts Centre Seoul in 2024, based on Linda Hutcheon's theory of adaptation and Julia Kristeva's discussion of intertextuality. Stone has gained attention for his adaptations of classics set in the present day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play he chose to adapt in Korea was Chekhov's The Cherry Orchard, set in late 19th-century Russia.
The Korean version of The Cherry Orchard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s described by Linda Hutcheon in that it reveal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ybridity as different cultures meet, clash, and adapt to each other. The aristocratic lady Ranevskaya and the young merchant Lopakhin from the original work are replaced by Song Doyoung (Jeon Doyeon), the third generation of a conglomerate on the verge of bankruptcy, and Hwang Doosik (Park Haesoo), the son of a chauffeur who has become a young businessman. While summoning the structure and themes of the original text, the upheaval of the late Tsarist Russia, where the old regime collapsed and capitalism emerged, is transpositioned into the violent catastrophe unfolding in modern Seoul. The roles of the characters inherit Chekhov's traditional character structure of ‘those who remain in the past’ and ‘those who strive for the future,’ but instead of feudal class structures, they reflect new economic class structures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Just as Chekhov's Cherry Orchard symbolises the decline of the aristocracy and the old regime, Stone's Cherry Orchard symbolises the end of the Korean “chaebol” and the era of rapid growth. Chekhov's characteristic lyrical sense of powerlessness and emotional ambiguity, which reveal the essential limitations of human existence, are recontextualised and brought into life. The reinterpreted play The Cherry Orchard will be performed overseas in its Korean version. This play is an example of how classics can be reinterpreted to transcend time and borders and be glocalized in new ways.
목차
Ⅰ. 서론 : “당신을 사랑합니다”와 “달빛이 참 아름답네요” 사이
Ⅱ. 고전을 ‘지금, 여기’로 : 현지화와 재창작
Ⅲ. ‘다름’을 횡단하는 <벚꽃동산>
Ⅳ. 자발적 이방인으로서의 창작자 : 사이먼 스톤의 작업들
Ⅴ. 결론 : 한국판 <벚꽃동산>, 고전 지역세계화의 새로운 가능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