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hancing Span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Pedagogy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강필운(Pil-Woo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244~26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업 학습이 스페인어 학습자의 소통 능력(말하기와 듣기), 소통자신감, 그리고 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역할극, 팀 과제, 문제 해결 활동 등 다양한 협업 기반 학습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말하기 및 듣기 능력, 소통 자신감, 소통 의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협업 학습은 말하기 능력을 사전 평균 11.9점(±1.4)에서 사후 평균 17.3점(±0.2)으로, 듣기 능력을 12.0점(±1.5)에서 17.2점(±0.2)으로 향상시켰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p = .01). 또한, 소통 자신감은 말하기 영역에서 3.0점(±0.6)에서 4.4점(±0.4)로, 듣기 영역에서 2.9점(±0.6)에서 4.3점(±0.4)로 상승하였으며, 소통 의지 점수 역시 2.8점(±0.6)에서 4.5점(±0.3)으로 증가하였다. 이들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 < .05).
본 연구는 협업 학습이 학습자의 언어 능력뿐 아니라 소통에 대한 자신감과 의지를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임을 입증한다. 이는 협업 학습이 다양한 교육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그 장기적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Spanish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specifically speaking and listening—along with their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The intervention incorporated a range of collaborative activities, including role-playing, team-based tasks, and problem-solving exercises.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learners’ performance and affective factor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cross all measured domains. Learners’ overall speaking scores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11.9 (±1.4) to a post-test mean of 17.3 (±0.2), and listening scores improved from 12.0 (±1.5) to 17.2 (±0.2) (*p = .01). Communication confidence in speaking rose from 3.0 (±0.6) to 4.4 (±0.4), while listening-related confidence increased from 2.9 (±0.6) to 4.3 (±0.4). WTC scores also showed a meaningful gain, rising from 2.8 (±0.6) to 4.5 (±0.3) (*p < .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abo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 that supports both linguistic development and affective growth in language learners. The study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interaction-driven instruction to foste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er confidence.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s and cross-linguistic applicabil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across varied education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