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among First-Year High School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s of Academic Engagement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미(Young Mi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675~6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은 총 2,244명(남학생 1,205명, 여학생 1,039명)이다. Pearson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팬텀 변수를 활용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우울은 학업무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열의는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 또한 유의한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 이는 우울이 높을수록 학업열의는 감소하고 스마트폰 과의존은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학업무기력이 심화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업 부담이 본격화되는 고등학생 시기 청소년들의 심리적⋅행동적 특성을 고려한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academic helplessness amo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whether academic engagement and smartphone dependency mediate this relationship.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4th wave of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ith a final sample of 2,244 students (1,205 males, 1,039 fema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and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was tested using phantom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1) depress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academic helplessness; (2) academic engag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higher depression levels reduced engagement, which in turn increased helplessness; and (3) smartphone dependency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whereby higher depression led to increased smartphone use, contributing to greater academic helplessness.
Conclusio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argeted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academic engagement and promoting healthy smartphone usage habits, especially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gh school when academic pressures intensif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