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 Abuse Experiences on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Propensity Score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곤성(Gon Su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583~59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향점수 분석을 통해 부모의 학대를 경험한 초등학생 집단과 비경험집단의 공변량을 표준화하여 부모 학대경험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초등학생의 학대경험 여부가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에서 초등 4학년 패널 2차(초등 5학년)년도와 3차년도(초등 6학년)의 201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표본선택편의로 발생하는 결과 왜곡을 통제하고 인과적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성향점수(propensity score) 추정 후 역확률 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를 반영해 학대경험의 처치효과를 추정하였다. 누락변수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추정결과가 강건한지를 알아보는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의 타당성을 보강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학대를 경험한 초등학생의 교우관계는 학대 경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하락하였다. 둘째, 아동학대를 경험한 초등학생의 교사관계의 평균은 학대 경험 후에 하락하였으나 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학대가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밝혔다. 이 결과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아동의 교우관계 개선을 위해서 정서적 안정, 대인관계 기술 증진 등의 다각적인 도움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아동학대 경험이 교사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결과는 교우관계와는 다른 교사관계의 위계적 특성이 작용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과 교사와의 관계 양상에 대한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통해 추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abuse on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from 2,018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peer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ropensity scores were estimated based on covariates associated with child abuse. To address potential selection bias and enhance causal inference,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method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ATT). The robustness of the estimated treatment effect was assessed through a sensitivity analys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in the presence of potential unobserved confounders.
Results First, the peer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child abuse significantly deteriorated following the abuse. Second, In contras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did not exhibi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abuse.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adverse impact of child abuse on the peer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buse may encounter significant challenges in forming and maintaining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multifaceted support, including programs aimed at fostering emotional stability and enhancing interpersonal skills, is essential to promote healthy peer interactions among these children. Furthermore, the finding that child abuse did not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may be attributed to the inherent hierarchical nature of such relationships, which differs from peer dynam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