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Discrimination Experienc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희진(Hee-Jin Han) 조은미(Eunmi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495~5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 부모의 의사결정 지원 등과 같은 변수를 중심으로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3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문제를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종속변수가 범주형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 학년, 학업성적, 거주지역1, 부모의 의사결정 지원, 인권존중 수준, 인권교육 경험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급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급별로 차이가 관찰되나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적으로 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 부모의 의사결정 지원, 인권존중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는 학년, 거주지역1, 부모의 의사결정 지원, 인권존중 정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차별경험 여부에는 부모의 의사결정 지원, 인권존중 정도, 인권교육 경험이 차별경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아동의 차별경험을 경감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variables such as gender,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parental support for decision-making.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3 Human Rights Surve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of Korea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6.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categorical nat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variables such as grade level, academic performance, residential area(Region 1), parental support for decision-making,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experience with human rights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h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chool level,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roups; however, parental support for decision-making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consistent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cross all school levels. Specif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level, residential area(Region 1), parental support for decision-making,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support for decision-making,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experience with human rights educa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iscrimin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to mitigate children'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