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예술기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Coordinating Morning Educational Activities (Morning Music Concert) Based 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 Arts-Based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주영광(Young Kwang J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317~3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교과의 예술교육업무를 맡은 한 초등교사가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작업을 시도하는 ‘교사 연구자’로서 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며 경험한 성찰과 성장,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예술기반 연구와 내러티브 탐구, OECD의 학습나침반 2030(OECD Learning Compass 2030)에서 제시한 방법론인 ‘예측(Anticipation)-행동(Action)-성찰(Reflection)’의 순환을 의미하는 AAR 사이클과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인 동시에 내러티브 화자로 등장하는 ‘나’는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 업무를 맡아 지도한 경험을 이야기하기 과정을 통해 현장텍스트를 수집하였고, 이를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인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차원에 주목하여 해석과 분석을 통해 연구텍스트화하면서 다시 말하고, 다시 살아가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였다. 결과 내러티브 탐구 공간인 시간성과 장소의 차원에서 학교라는 장소에서 살아가는 현재의 나는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작업을 시도하는 ‘교사 연구자’로서 아마추어 성악가의 입장에서 연구와 무대 경험을 시도해봄으로써 등굣길 음악회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학생자치회와 무대에서 연주자로서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한 연구를 수반한 경험을 다시 이야기 하였고, 해석과 분석의 작업을 거쳐 다음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친구들과의 ‘우정’, 익숙한 영역에서 새로운 영역으로 넘어가는 ‘크로스오버’, 문화적 구심력과 문화적 원심력의 ‘균형’,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융합’으로 연구의 결과를 집약할 수 있었으며, 연구퍼즐에서 제시한 개인적 차원, 실제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의미를 함께 도출하여 연구자의 타당화 확보 노력을 기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교육현장에서 주목을 받는 등굣길 음악회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비정규교과의 예술교육 업무를 맡은 연구자가 학교교사의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 한 교사 연구자의 성찰과 경험의 의미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the reflections, growth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experienced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charge of arts education in the non-regular curriculum as they attempt to theorize their practice as a “teacher-researcher” while coordinating a morning music concert. Methods For this objective, the study employed arts-based research,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and the AAR cycle and model, which represent the cycle of “Anticipation-Action-Reflection” as proposed i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The “I” who appears as both the researcher and the narrative voice applied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method to share experiences of coordinating morning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storytelling process, field texts were collected and then interpreted and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This process of re-telling and re-living the experiences led to the formation of meanings. Results To guide the student council members who organized the morning music concert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s performers, the researcher, living and working in the school context which is the dimension of narrative inquiry spaces, re-engaged with thes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amateur vocalist, attempting both research and stage performance. In doing so, the researcher, as a “teacher-researcher,” sought to theorize practice by retelling these experiences, and through interpretation and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friendship among peers, crossover from familiar to unfamiliar domains, balance between cultural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and convergence represented by generative AI. These findings encapsulate the study's outcomes and address the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dimensions posed by the research puzzle, demonstrating the researcher's efforts to ensure validity. Conclusions This study addresses the lack of prior research on morning music concerts, which have recently gained att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It explores the reflections and experiences of a teacher-researcher responsible for arts education in the non-regular curriculum, who goes beyond the traditional role of a school teacher to actively engag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영광(Young Kwang Joo). (2025).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예술기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4), 317-342

MLA

주영광(Young Kwang Joo). "문화예술교육 기반 아침 교육활동(등굣길 음악회)를 지도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예술기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4(2025): 317-34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