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명보(Myung Bo Shim) 강지은(Jieun Kang) 맹주완(Juwoan Me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1~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PICOS에 따라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7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R Studio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크게 나타났다. 조절 변인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는, 프로그램 유형은 독서기반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6~10명, 운영 시간은 방과후, 1회기 시간은 40분 초과~80분 미만, 총 회기는 11회기~20회기 일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 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인지적 요인의 하위요인을 분석했을 때, 말하기에서 가장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프로그램 유형, 참여 인원, 운영 시간, 1회기 시간, 총 회기 등의 조절 변인들과 말하기 같은 종속 변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esent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this age group.
Methods To achieve this, 17 studie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following the PICOS criteria. A total of 7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Studio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 The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the moderator variable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was greatest for reading-based programs,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6-10, the program was conducted after school, each session lasted between 40 and 80 minutes, and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11-20.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further analysis of the sub-factors within cognitive factors indicated that speaking had the largest effect size.
Conclusions When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rogram type, number of participants, program duration, session length, and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s well as dependent variables like speak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