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경(In Kyoung Kim) 강미경(Mi Kyeong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4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목적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 문제,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는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 기간은 2024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로 충남, 충북, 대전에 소재한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178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성인애착은 3.17±0.82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대인관계 문제의 평균 평점은 2.12±0.58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의 평균 평점은 3.53±0.55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문제은 학점(F=3.353,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은 학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성인애착(r=-.744, p<.001), 대인관계 문제(r=-.725, p<.001)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반면,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문제(r=.786,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인애착, 대인관계 문제, 학년에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증가였고 설명력은 61.7%이었다(F=95.953, p<.001).
결론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인애착 정도를 낮추고 대인관계 문제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정신적 건강관리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성인애착, 대인관계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 및 중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problem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ultimatel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4,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78 nursing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nam, Chungbuk, and Daejeo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participants' adult attachment score was 3.17±0.82, indicating a lower-than-moderate level, while the mean score for interpersonal problems was 2.12±0.58, also below the moderate level. The mean score for college life adaptation was 3.53±0.55, representing a moderate level.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PA (F=3.353, p<.05). Similarly, college life adaptation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PA. College life adapt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ult attachment (r=-.744, p<.001) and interpersonal problems (r=-.725, p<.001). In contrast,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786,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problems, and academic year,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61.7% (F=95.953, p<.001).
Conclusions To enhance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strengthen mental health management by reducing adult attachment level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various programs and intervention studies should be applied to address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are key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