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VR, AR, 메타버스 관광의 종단적 분석 -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언론 매체의 토픽 변화 연구(2016-2023)

이용수 0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f VR, AR, and metaverse tourism: Analyzing temporal topic evolution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of news media (2016-2023)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윤성은(Seong-Eun Yoon) 정안용(An-yong Cheong) 김예림(Ye-Lim Kim) 남윤재(Yoon-Jae Nam)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9권 제5호, 31~5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메타버스 관광의 시기별 담론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메타버스 관광 연구는 가상세계(Virtual World)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같은 개별 기술 영역에 편중되어 있어, 메타버스 생태계를 포괄하는 거시적이고 종단적인 실증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VR, AR, 메타버스 관광과 관련된 언론 보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Dynamic Topic Modeling, DTM)을 적용하여 주요 토픽의 변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네이버 뉴스에서 수집한 64,677건의 유효 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첨단기술, 관광정보, 콘텐츠, 관광연계상품, 정책, 교육, 콘텐츠 소비 방식, 체험 등 8개의 핵심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각 토픽의 비중과 변화 추이가 파악되었다. 초기에는 일부 토픽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지만, 이후 다양한 토픽으로 확장되는 다차원적 양상을 보인다. 특히, 메타버스가 단순한 기술 혁신의 개념을 넘어 관광산업 내 적용 방식과 활용전략의 변화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관광이 초기의 상품 중심 시장에서 정보 제공 및 경험공유 플랫폼으로 재편되는 경향을 보이며, 정책적 지원과 공공기관의 역할이 지속적 발전의 주요 동력으로 확인된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 관광의 통합적이고 거시적인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며, 메타버스 관광 연구의 방법론적 확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volving trends in Metaverse tourism and proposes future directions. Previous research on Metaverse tourism has often focused on isolated areas-such a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and has lacked integrative and longitudinal empirical studies that capture the diverse and dynamic nature of Metaverse tourism. In response to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mploys Dynamic Topic Modeling (DTM) to examine shifts in key themes within news media articles related to VR, AR, and Metaverse tourism from 2016 to 2023. A total of 64,677 valid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Naver News for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eight core topics: advanced technology, tourism information, content, tourism-linked products, policy, education, content consumption methods, and experience. The findings reveal that early discourse was concentrated around a limited number of themes but gradually expanded to encompass a broader and more multifaceted range of issues. Notably, the focus of Metaverse tourism has evolved beyond technological innovation to emphasize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 Furthermore, there has been a discernible shift from product-centric approaches towar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platforms. Consistent policy support an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public sector are highlighted as key drivers of the sustainable growth of Metaverse tourism.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practical insights and contribute to the methodological advancement of Metaverse tourism studies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and longitudinal analysis of topic tren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은(Seong-Eun Yoon),정안용(An-yong Cheong),김예림(Ye-Lim Kim),남윤재(Yoon-Jae Nam). (2025).VR, AR, 메타버스 관광의 종단적 분석 -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언론 매체의 토픽 변화 연구(2016-2023). 관광학연구, 49 (5), 31-54

MLA

윤성은(Seong-Eun Yoon),정안용(An-yong Cheong),김예림(Ye-Lim Kim),남윤재(Yoon-Jae Nam). "VR, AR, 메타버스 관광의 종단적 분석 -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언론 매체의 토픽 변화 연구(2016-2023)." 관광학연구, 49.5(2025): 31-5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