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외 주요국 공공부문의 AI 추진체계 비교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I Strategies and Governance Frameworks of Public Sector in Leading Nations
발행기관
한국창업학회
저자명
김송은(Songeun Kim) 이현익(Hyonik Lee) 윤성욱(Sungwook Yoon)
간행물 정보
『한국창업학회지』제20권 제3호, 159~19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싱가포르 등 주요국의 AI 추진체계와 거버넌스 특징을 비교하여 AI 기술 발전과 활용에서 나타나는 국가별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AI는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공통적인 특성으로는 연구개발 투자, 윤리적 규제, 인재 양성, 산업적 응용, 국제 협력 등을 포함한 체계적인 거버넌스를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결과, 미국은 국립 AI 연구소를 통해 기초 연구와 상용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영국은 앨런 튜링 연구소를 중심으로 윤리적 AI와 공익적 가치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독일은 6개의 AI 우수센터를 통해 산업 혁신과 규제 간 균형을 추구하며, 캐나다는 Pan-Canadian AI 전략으로 글로벌 AI 연구 허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는 AI Singapore와 AI Verify Foundation을 통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진체계에는 기술 격차, 중소기업의 참여 부족, 데이터 접근성과 같은 공통된 과제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주요국의 AI 거버넌스 특징과 한계를 분석함으로써 글로벌 협력과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I strategies and governance framework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Canada, and Singapore,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national approaches to A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I has emerged a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driving economic and societal changes, with common features such as investments in R&D, ethical regulations, talent development, industrial application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ming systematic governance frameworks to secure technological leadership.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United States focuses on fundamental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its National AI Institutes, while the United Kingdom emphasizes ethical AI and public value realization centered around the Alan Turing Institute. Germany seeks a balance between industrial innovation and regulation through its six AI Centers of Excellence, and Canada positions itself as a global AI research hub under the Pan-Canadian AI Strategy. Finally, Singapore prioritizes trust and transparency through initiatives like AI Singapore and the AI Verify Foundation. However, shared challenges such as technological disparities, limited particip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restricted data access were identified across these framework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I governance in leading nations, offering implications for global cooperation and sustainable technological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AI 추진체계 글로벌 동향
Ⅲ. 주요국 AI 추진체계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송은(Songeun Kim),이현익(Hyonik Lee),윤성욱(Sungwook Yoon). (2025).해외 주요국 공공부문의 AI 추진체계 비교연구. 한국창업학회지, 20 (3), 159-194

MLA

김송은(Songeun Kim),이현익(Hyonik Lee),윤성욱(Sungwook Yoon). "해외 주요국 공공부문의 AI 추진체계 비교연구." 한국창업학회지, 20.3(2025): 159-19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