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raditional and Modified(IPA)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re Competencies of the Curriculum Among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석(Hyun-Suk Cho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3호, 131~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20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6가지 핵심 역량에 대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제 실행 정도(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전통적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과 수정된 IPA 방법(Vavra, 1997; Deng, 2007)을 비교함으로써 역량 기반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지원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20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개 세부 역량과 6개 전반적 실행도 문항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 IPA에서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역량이 1사분면과3사분면에 집중되었다. 반면, 수정된 IPA 방법에서는 분포의 균형성과 통계적 적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Vavra와 Deng 방법을 통해 실행력이 낮고 중요도가 높은 2사분면의 역량들이 명확히 도출되었다. 이들 역량에는 종합적 사고 함양, 전공 활용 능력, 디지털 교과서 활용, 자아성찰 및 평가 등이 포함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핵심 역량 기반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설계 모형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performance (execution level) of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mong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earch also compared the traditional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with two modified IPA approaches proposed by Vavra(1997) and Deng(2007), in order to identify strategic priorities for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Method A total of 25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20 schools were surveyed, focusing on 30 sub-competencies and six overall satisfaction items.
Results The traditional IPA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ith competencies concentrated in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In contrast, the modified IPA methods, particularly Vavra‘s and Deng’s, revealed a more balanced distribution and statistical robustness. Key competencies such as integrated thinking, application of subject knowledge, use of digital textbooks, and self-reflection were identified as requiring urgent support.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offer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nd instructional models aligned with core competencies of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