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yberbullying Experienc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yber Confidence through Self-Control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정주은(Ju Eon Jung) 김동록(Dong R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2호, 147~1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오늘날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청소년의 생활방식과 사회적 관계 형성 방식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은 사이버 공간에 가장 자주 참여하고 활용 능력이 높은 집단으로,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편리함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중독, 의존, 그리고 사이버폭력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사이버폭력은 오프라인 폭력과 달리 비대면적 이며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가 반복되기 쉬우며, 그 심각성에 비해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 징을 가진다. 최근에는 학교폭력의 양상이 신체적 폭력에서 SNS, 메신저를 이용한 심리적ᄋ언어적 폭력으로 변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구조적 이해와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애착, 자기통제력, 그리고 사이버 자신감에 주목하였다. 자기통제이론과 사회유대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부모애착이 사이버폭력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 매개경로가 사이버 자신감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형사ᄋ법무정책연구원이 2015년에 실시한 '청소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Hayes(2017)의 Process Macro(Model 4, 1, 14)를 적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애착 은 자기통제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사이버폭력 경험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 모애착은 직접적으로도 사이버폭력 경험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사이버 자신감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부모애착이 자 기통제를 거쳐 사이버폭력 경험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사이버 자신감이 이 관계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아동기부터 형성된 안정적인 부모애착은 청소년 기의 자기통제력 향상과 비행 예방에 중요한 기초가 되므로, 부모-자녀 관계의 질을 높이는 가정 내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자기통제 수준을 주기적으로 진단하고, 낮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셋 째, 사이버공간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등 비정상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적 특성에 대한 제도적, 교육적 개입이 병행되어 야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문제를 구조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have significantly transformed adolescents' daily lives and the way they form and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As the most active and skilled users of digital media, adolescent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internet addiction and cyberbullying. Cyberbullying, unlike traditional offline violence, occurs in anonymous and non-face-to-face settings, which enables repetitive victimization and delayed detection. Recent trends indicate a shift in school violence from physical aggression to psychological and verbal abuse conducted through social media and messaging appl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deeper understanding and preventive strategies. This study focuses on parental attachment, self-control, and cyber confidence as key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Drawing upon self-control theory and social bond theory, the study examines whether self-control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and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levels of cyber confidence. The analysis is based on secondary data from the 2015 Youth Cyber Viole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Policy. Hayes' Process Macro (Models 4, 1, and 14) was employed to verify the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findings reveal that stronger parental attachment positively influences adolescents' self-control, which in turn reduces the likelihood of cyberbullying. Parental attachment also directly decreases cyberbullying experience. Notably, cyber confidence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yberbullying via self-control is more pronounced among adolescents with lower levels of cyber confidence. These results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dolescent cyberbullying. Strengthening parental attachment from early childhood is essential for fostering self-control and reducing delinquent behavior. Regular assessment of self-control and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low self-control adolescents are also recommended. Furthermore, policy and educational efforts should aim to addres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such as anonymity and lack of face-to-face interaction-that may facilitate impulsive and harmful online behavior. These combined efforts can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strategy to mitigate cyberbullying among youth.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