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omoting Copycat Criminal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정임수(Im-soo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1호, 251~2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 파급력이 컸던 범행과 이에 대한 사회의 반응을 학습하여 본인의 주장을 과시하고자 이를 답습한 모방범죄의 예방은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 형태를 ‘과시형 모방범죄’라고 정의하고, 관련 이론들을 통해 해당 범죄자들의 심리적 특성 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인의 이념에 일치하는 범죄와 이를 행한 매력 적인 범죄자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모방하려는 범죄사건을 학습하고 범죄자의 출판물과 인터뷰 등에서 공감대를 형성한다. 이후 모방하려는 범죄자들에 대한 사건 보도와 여론의 우호적인 태도에 자신이 실행할 범행의 정당성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범행이 후 성명서 발표 또는 인터뷰를 통해 본인 범행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과시형 모방범죄는 제3의 동종범죄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방송편성 및 언론보도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관련 범죄의 태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전반의 의식제고가 선결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t is difficult to prevent copycat crimes that imitate offenses with significant social repercussions to assert one's own claims. This study defines such crimes as ‘Promoting copycat crimes’ and analyze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criminals through relevant theories. The findings indicate the following psychological traits of Promoting copycat criminals. First, they select crimes that align with their own ideology and choose perpetrators they find appealing. Next, they study the crimes they intend to imitate and develop a sense of empathy through the original perpetrators' publications and interviews. Subsequently, they reinforce the justification for their actions by observing media coverage and public opinion that is favorable toward the original criminals. Finally, after committing their crimes, they assert the legitimacy of their actions through Manifesto or Interviews. Promoting copycat crimes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further similar crimes. To prevent such offenses, a social consensus on media programming and reporting guidelines is necessary. Additionally,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the vulnerabilities of marginalized groups is a prerequisite for preventing the emergence of such crim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논의
3. 과시형 모방범죄 사례
4.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5.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범죄심리연구
  • 동향과 전망
  • 한국소통학보
  • 한국범죄심리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HOMO MIGRANS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한국범죄심리연구
  • 한국경찰연구
  • 한국경찰학회보
  • 한국범죄심리연구
  • 시큐리티연구
  • 시큐리티연구
  • 시대와 철학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경찰학논총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Wasafiri
  • Psychological science
  • Scien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n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 Cornell University Press
  • Political Psychology
  • Terrorism and Political Violenc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Current Anthropology
  •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 World Psychiatry
  •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A Quarterly Journal
  • Oxford University Press, USA
  • Advances in Personality Aassessment
  •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 Crime, media, cultur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임수(Im-soo Jeong). (2025).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21 (1), 251-268

MLA

정임수(Im-soo Jeong). "과시형 모방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21.1(2025): 251-26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