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ercive Control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Victimizati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진석(Jeensuk Lee) 김준범(Joonbeo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1호, 209~2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폭력을 신체, 정서, 경제, 그리고 성적폭력으로 나누어 외현적 폭력으로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내현적 폭력으로서 강압적 통제의 발생 차이를 검정하였다. 이를 통해 배우자 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에서 수정된 성인 3,945명의 데이터를 이용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현적 폭력 유형화 결과 ‘최저 피해 집단(n=3,578, 90.7%)’, ‘신체·정서피해 우세집단(n=234, 5.9%)’, ‘경제·성폭력피해 우세집단(n=133, 3.4%)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집단별 강압적 통제 발생 차이 분석 결과 경제·성폭력 우세집단에서 강압적 통제 발생 수준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체·정서 우세집단, 최저 피해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성폭력 우세집단은 특히 본가 접촉 차단, 감정 냉 대 무시, 이성 접촉 차단, 외도 의심 비난, 병원 방문 제한에 대한 강압적 통제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강압적 통제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ategorized intimate partner violence (IPV) into physical, emotional, economic, and sexual violence as forms of external violence and examined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coercive control, conceptualized as internal violenc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3,945 adults, drawn from the modified dataset of the Interrelatedness of Violence Experiences by Life Cycle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of externa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identified: (1) Least Victimization (LV) (n = 3,578, 90.7%), (2) Predominantly Physical and Emotional Victimization (PPE) (n = 234, 5.9%), and (3) Predominantly Economic and Sexual Victimization (PES) (n = 133, 3.4%). Second, differences in coercive control among these groups revealed that PES exhibit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PPE and LV. Third, individuals in the PES group experienced the highest incidence of coercive control, particularly in the form of severing contact with family members, emotional neglect, restricting interactions with individuals of the opposite sex, accusations of infidelity, and limiting access to medical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oercive control.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