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stablishing Automated Analysis Systems in the Animal Fluency Task Reflecting Korean-specific Clustering Criter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유예린(Yae Rin Yoo) 박지민(Jimin Park) 임윤섭(Yoonseob Lim)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395~41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물 유창성 검사의 정반응 채점 기준을 구체화하고, 한국인의 동물 분류 인식을 반영한 동물 군집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물 유창성 검사의 자동 분석 방법을 설계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후 공개 배포하고자 하였다. 자동 분석의타당성 검증을 위해 수동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집단 간 정반응 수, 전환 수, 평균 군집 크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방법: 본연구의 대상자는 정상 청년 275명과 노년 374명으로, 1분간 동물 유창성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정반응 수, 전환 수, 평균 군집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 5개의 정반응 세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동물 군집 기준을 상위 2개와 하위 14개로 구체화하였다. 더불어 각 기준에 부합하는 세부 동물 예시 목록을 제시하였다. 수동 분석에는 대학원생 14인이 참여하였으며, 자동 분석은 GitHub로 배포하였다. 결과: 자동 및 수동 분석 간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관계가 드러났으며, 청년층이 노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정반응 수, 높은 전환 수, 큰 평균 군집 크기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상자들의 동물 유창성 검사 수행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마련하였으며, 자동 분석 방법을 설계 및 공개하여 임상과 연구 현장에서의 분석 용이성 증진에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scoring criteria for the animal fluency task (AFT) and establish Korean-adjusted animal clustering criteria. Additionally, we aim to develop an automated analysis approach for the AFT and make this tool accessible for practical use following validation. To validate this approach, we seek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ed and manual analysis method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rrect responses, switchings, and mean cluster size between younger and older adults. Methods: 275 healthy younger adults and 374 healthy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FT was conducted within a 1-minute time window, and data were analyzed for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switchings, and mean cluster size. The study proposed five sub-criteria for scoring correct responses and specified animal clustering criteria into two upper-level and 14 lower-level categories. Additionally, a comprehensive list of animal examples corresponding to each criterion. Manual analysis was conducted by 14 graduate students, and the automated analysis is publicly available on GitHub.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sig 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utomated and manual analyses for correct responses, switchings, and mean cluster size. Younger adults also produced more correct responses, exhibited more switching behaviors, and had larger mean cluster sizes than older adults.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s integrated scoring and clustering standards for the objective analysis of Korean participants’ performance on the AFT. Furthermore, by providing an automated analysis approach, w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resource use in both clinical settings and research area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 NeuroImag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Frontiers in Psychology
  • Psychological Assessment
  • Discourse & Cognition
  • Brain Injury
  •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 Frontiers in Psychology
  • Seoul: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Co.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Seoul: Paradise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Dementia &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Proceedings of the IWCS 2017–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Semantic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Neuropsychologia
  • Proceedings of the Interspeech 2019
  • Brain & Language
  •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Doctoral dissertation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Journal of Clinical &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Journal of Clinical &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 Neuropsychology
  •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 Neuroscience Bulleti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예린(Yae Rin Yoo),박지민(Jimin Park),임윤섭(Yoonseob Lim),성지은(Jee Eun Sung). (2025).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2), 395-411

MLA

유예린(Yae Rin Yoo),박지민(Jimin Park),임윤섭(Yoonseob Lim),성지은(Jee Eun Sung). "동물 유창성 검사의 한국형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정반응 채점 및 군집 기준 구축을 바탕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2(2025): 395-41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