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Vocal Fatigue on Acoustic and Aerodynamic Parameters in Elite Voice Professionals Diagnosed with Mild Laryngeal Patholog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다원(Dawon Kim) 김민지(Minji Kim) 박다현(Dahyeon Park) 조유리(Yuri Cho) 오재국(Jaekook Oh) 이영미(Youngmee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335~3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문 음성 사용자의 발성 음도에 따른 음향학적 변수값을 비교하고, 음성 피로도 수준과 발성 음도 조건에 따른 음향학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 피로도 수준과 공기역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음성 피로도 점수와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변수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24명의 전문 음성 사용자가 참여하였으며, 습관적 음도 발성과 고음 발성 조건에서 음향학적 변수를 측정하고, 별도로 공기역학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음성 피로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 평가 도구인 VFI (Voice Fatigue Index)를 사용하였다. 결과: 발성 음도 조건에 따라 Jitter, Shimmer, F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음성피로도 수준(고/저)과 발성 음도 조건에 따른 음향학적 변수를 비교한 결과, 음성 피로도 수준에 따라서 Jitter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성 음도에 따라서 Jitter, Shimmer, F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음성 피로도 수준에 따른 공기역학적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음성 피로도 점수와 고음 조건에서의 Jitter, Shimmer, MFR, MPT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직업적 음성 요구의 영향을 받는 전문 음성 사용자의 음성 피로도가 주관적인 음성 피로와 객관적 변수와의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고음 발성이 음성 피로 평가에서 민감한 측정 조건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도 종합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ocal fatigue on acoustic and aerodynamic parameters in professional voice users, focusing on habitual and high-pitch phonation conditions. Methods: Twenty-four professional voice users, primarily categorized as Level 1 elite vocal perform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vs. low vocal fatigue)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Vocal Fatigue Index (VFI).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at habitual and high-pitch phonation, while aerodynamic data were obtained separately. Acoustic analysis included Jitter, Shimmer, Noise-to-Harmonics Ratio (NHR), and fundamental frequency (F₀), while aerodynamic assessments included maximum phonation time (MPT) and mean flow rate (MFR).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Jitter, Shimmer, and F₀ were observed between habitual and high pitch phonation conditions. The high VF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Jitter than the low VF group,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ther acoustic and aerodynamic parameter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VFI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pitch Jitter, high-pitch Shimmer, and MFR,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P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nique susceptibility of professional voice users to vocal fatigue, influenced by their occupational vocal demands. The findings emphasize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vocal fatigue and objective acoustic-aerodynamic features, particularly under high-pitch phonation condition. These results under score the importance of multidimensional assessments, integrat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ocal fatigue in professional voice us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