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nxious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Early Adults with Relational Loss: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Self-Silencing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은지(Eun-Ji PARK) 이수림(Su-Lim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3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계상실을 경험한 초기 성인의 불안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침묵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만19세~35세 3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과 PROCESS Macro 를 사용해 상관분석, 매개효과,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하 였다. 둘째, 불안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침묵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하였 다. 셋째, 불안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침묵이 순차적으로 부분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상실을 경험한 초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매개변인으로 확인된 자기자비의 향상과 자기침묵 완화를 함께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lf-compassion and self-silencing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young adults who have experienced relational loss. A total of 315 participants aged 19 to 35 completed a self-report survey. Using SPSS 26.0 and the PROCESS Macro,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elf-compassion and self-silencing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the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self-compassion and self-silencing had a significant parti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adults with relational loss requires promoting self-compassion and decreasing self-silenc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