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타지키스탄의 광물자원 현황

이용수 0

영문명
An Overview of Mineral Resources in Tajikista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이선진(Sunjin Lee) 허철호(Chul-Ho Heo)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8권 3호, 217~2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토 면적의 93%가 산악지형인 타지키스탄은 히말라야와 알프스 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대규모 광역 단층대와 봉합대를 포함하는 지체구조대 환경에 속한다. 타지키스탄의 지질은 다양한 성분의 퇴적암 및 변성암과 이들을 관입한 화성암으로 구성된 복잡한 지질구조를 보이며, 이러한 지질학적 환경 속에서 약 50여종 이상의 광물자원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현재 타지키스탄은 새로운 광물자원의 잠재적 보고로 주목받고 있다. 타지키스탄은 산출되는 광물자원, 지구조 활동과 산출 암석의 분화 특성에 따라 5개 구역으로 나뉜다(북부, 북동부, 중앙, 남서부, 남동부인 파미르). 주요 광물자원은 안티모니, 수은, 금, 은, 텅스텐, 주석과 함께 희소금속인 리튬, 베릴륨, 세슘, 탄탈럼, 니오븀 등이 있다. 특히, 희소금속을 다량 함유하는 페그마타이트 광화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다양한 원소로 구성된 새로운 광물 종도 등재되고 있다. 이러한 핵심광물의 새로운 자원 공급처로 제고되는 타지키스탄에 부존된 자원의 분포와 지질학적 생성 배경을 기술하여 향후 탐사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ajikistan, with 93% of its territory covered by mountainous terrain, possesses a complex geological structure shaped by the Himalayan and Alpine orogenic movements. This geological setting includes extensive fault zones and suture belts, accompanied by a wide range of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 formations with associated magmatic activity. Within this environment, over 50 mineral commodities have been identified, positioning Tajikistan as an emerging repository of mineral resources. The country is divided into five geological regions based on its mineral deposits, tectonic activity, and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northern, northeastern, central, southwestern, and southeastern (Pamir) regions. Key mineral resources include antimony, mercury, gold, silver, tungsten, and tin. Additionally, pegmatite mineralization zones rich in lithium, beryllium, cesium, tantalum, and niobium continue to be discovered, alongside newly identified mineral commodities. This study presents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geological formation of mineral resources in Tajikistan, whose status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new supplier of critical minerals, with the aim of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to guide future exploration.

목차

1. 서 론
2. 지질 개요
3. 타지키스탄의 광물자원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진(Sunjin Lee),허철호(Chul-Ho Heo). (2025).타지키스탄의 광물자원 현황. 자원환경지질, 58 (3), 217-229

MLA

이선진(Sunjin Lee),허철호(Chul-Ho Heo). "타지키스탄의 광물자원 현황." 자원환경지질, 58.3(2025): 217-22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